AI 시대에 맞춰 사회 전반에서 커다란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교육부는 내년부터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하여 교육혁신에 나서며, 경기도는 '공공 및 민간분야 인공지능(AI) 실증 지원 과제 5개 선정'을 완료했다.

경기도청 (사진=경기도)
경기도청 (사진=경기도)

광주광역시도 'AI 선도도시' 답게 강기정 시장이 발빠르게 국회를 찾아 AI 관련 지원 예산의 도움을 요청했다. 반면에 전남은 경기도나 광주광역시에 비해 AI 실증지원 사업에선 뒤 처지고 있는 느낌이다. 

경기도는 지난달 '2024년 경기도 AI 실증지원 사업'으로 공공 및 민간분야 인공지능(AI) 실증과제 총 5개를 선정했다.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분야 1개 과제에 3억 원, 민간분야 4개 과제에 각각 1억 5천만 원씩 총 9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경기도는 공공분야 AI 실증 과정에서 도민 체험단이 직접 참여해 기술을 체험해 보고 개선점을 피드백해, 보다 대민 실효성을 높여갈 방침이다. 민간분야는 의료, 복지, 교통, 생활편의 등 다양한 분야의 실증을 통해 우수한 인공지능 제품·서비스를 발굴하고 기업 육성을 지원할 예정이다.

광주광역시도 강기정 시장이 직접 AI 관련 현안사업과 정책을 챙기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 6월 14일 국회를 방문하여 국회의장·황운하‧천하람 원내대표 등 여야 지도부를 잇따라 면담하고 '광주 AI 실증밸리 조성 등 현안사업 지원 요청'을 했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6월 14일 오전 국회의사당 국회의장실을 방문해 우원식 의장과 대화를 하고 있다. (사진=광주광역시)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6월 14일 오전 국회의사당 국회의장실을 방문해 우원식 의장과 대화를 하고 있다. (사진=광주광역시)

강 시장은 "광주는 인공지능과 미래차, 아시아문화중심도시라는 삼대축을 미래먹거리로 삼아 한 발 한 발 나아가고 있다"면서 "국회의 도움이 있어야만 광주가 꿈꾸는 '2030 대전환'의 미래를 실현할 수 있다. 시민들이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결과를 이룰 수 있도록 여야 모두 힘을 모아달라"면서 '인공지능 실증밸리 조성사업(AI 2단계)' 신속 추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했다. 

이에 반해 근래 전남도의 AI 관련 정책과 지원은 그동안에 비해 속도감이 떨어진 느낌이다. 전남도가 그동안 AI 관련 정책과 사업에 투자한 부분들도 적지 않지만 경기도나 광주광역시처럼 집중적이진 않다. 

그러다보니 AI에 관심이 많은 도민들 사이에 "전남도도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뒤처지지 말고 보다 더 능동적이며 선제적으로 AI 관련 정책개발과 AI 활용 디지털 행정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