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뛰어난 자원을 바탕으로 반도체, AI, 데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 첨단기업 유치에 가장 유리한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지난 11일 발표한 ‘RE100 활성화가 전라남도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결과는 전남의 경제적 잠재력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남은 글로벌 RE100 수요 증가와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힘입어 전기요금 인하가 예상된다.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 시나리오에서는 전남 지역내총생산(GRDP)이 5.6%에서 최대 19.0%까지 증가하고, 고용은 1만9천명에서 최대 6만 5천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남은 대한민국 최고의 재생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용량은 5.19GW, 잠재량은 444.2GW로 전국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전남은 30GW 해상풍력, 6GW 대규모 태양광집적화단지, 영농형 및 산단형 태양광 집적화단지 등 재생에너지 사업 범위를 대폭 확장하고 있다.
특히, 해상풍력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고 있다. 전남은 세계적 터빈사인 베스타스, 해운그룹인 머스크사와 3천억 원 규모의 터빈공장 설립 투자협약을 체결했고, 국내 유일의 해상풍력 지원항만인 목포신항이 정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었다.
현재 전남에는 한국전력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다수의 공공기관이 이전해 있다. 이러한 기관들은 전남의 재생에너지 자원과 시너지를 발휘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앞으로도 전남은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더 많은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이전을 기대하고 있다.
지난 6월 14일 시행된 분산에너지특별법은 전남의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능하게 한다. 이 법은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역에서 소비하는 '지산지소(地産地消)' 개념을 도입하여, 전남의 전기요금 인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이에 따라, 전남은 RE100 전력 활용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더 많은 기업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이 RE100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호남권의 심각한 전력계통 포화문제를 조속히 해결해야 하며, 전력 다소비 기업의 지방이전을 촉진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 시 근로자 정착을 위한 근로소득세 면제 등 혁신적 지원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이번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의 연구 결과는 전남이 글로벌 RE100을 선도하고, 재생에너지에 기반한 미래 첨단전략산업의 최적지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앞으로 글로벌 기업을 대대적으로 유치하고, 지역균형발전과 인구소멸 극복에 기여함으로써 '대한민국 에너지수도, 전남'으로 재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전남은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앞장서며, 미래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준비를 마쳤다. RE100 활성화와 더불어 전남의 경제적 도약이 기대되는 시점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