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대표 최수연)는 대한상공회의소가 개최한 제주포럼에서 글로벌 인공지능(AI) 산업 생태계에서의 국내 현실에 대해 논의하고 아시아 기업 협력을 강조했다고 22일 밝혔다.
포럼은 ‘AI 시대, 우리 기업의 도전과 미래 비전’을 주제로 개최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최태원 SK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정송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재철AI대학원 원장과 대담을 진행했다.
최수연 대표는 “한국은 우수한 AI 산업 생태계와 독자적 디지털 플랫폼을 보유한 국가로 글로벌에서 AI 선도 국가로 인정받고 있다"라며 “특히 네이버는 한국 AI 기술 개발을 이끌고 있는 주요 기업으로서 국내 민간 기업 최초의 슈퍼컴퓨터 도입부터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각 세종’ 구축, 전세계 AI 연구자들에게 활발히 인용되는 혁신적인 학술 연구 등 AI 기술의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자국 언어를 중심으로 초거대 생성 AI 모델을 ‘프롬 스크래치(맨 처음 단계부터)’로 개발해 서비스 전반 적용까지 나아간 사례는 중국을 제외하면 아시아에서는 한국이 실질적으로 유일하다"라며 "최근 자체 AI 모델 구축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비영어권 지역에서 AI 기술 리더십 이니셔티브 역할을 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향후 네이버는 각 지역 문화와 가치를 보다 강력하게 반영한 자체 소버린 AI의 확산을 위해 여러 국가 및 기업과 파트너십을 구축할 계획이다. 최 대표는 자국어 모델을 개발했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여러 국가가 소버린 AI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한편 이 자리에서 최태원 회장은 AI 기업들이 향후 수익을 올리지 못하면 인프라를 제공하는 엔비디아 역시 2∼3년 뒤에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해 눈길을 모았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