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신안 하의도의 김대중 대통령 생가를 도 문화유산으로 지정한 가운데,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아들인 김홍일 전 의원이 서울 동교동 사저를 매매한 문제로 정치권의 반응이 뜨겁다.

전남도 문화유산-김대중 전 대통령 생가 (사진=전남도)
전남도 문화유산-김대중 전 대통령 생가 (사진=전남도)

전라남도는 김대중 대통령이 1924년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낸 신안 하의도의 생가를 도 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 김대중 대통령은 하의보통학교에 다니다가 1936년 목포로 이사하기 전까지 이곳에서 자랐다. 

생가는 인권과 평화의 정신을 키운 공간으로, 역사적 인물 유적이자 섬 지역 전통민가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박우육 전남도 문화융성국장은 "김대중 정신의 출발점이 된 생가를 잘 보존하고 관리해 그 역사적 가치를 계승·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반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아들 김홍일 전 의원이 서울 동교동 사저를 매매한 문제로 논란이 일고 있다. 동교동 사저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민주화 운동을 전개하던 시절부터 거주했던 곳으로,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인 장소다. 

김홍일 전 의원은 사저를 매각한 이유로 재정적 어려움을 언급했으나, 이에 대한 정치권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김홍일 전 의원의 결정에 유감을 표하며, "동교동 사저는 대한민국 민주화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장소로, 보존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당내 일부 인사들은 사저를 매입해 기념관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반면, 일부 정치권에서는 개인의 사유 재산에 대한 문제로, 김홍일 전 의원의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전남도가 김대중 대통령 생가를 문화유산으로 지정하며 그의 인권과 평화 정신을 기리고 있는 것과 달리, 서울 동교동 사저 매매 문제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유산 보존 문제를 둘러싼 정치적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 

생가 지정은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계승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반면, 동교동 사저 매매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유산 관리에 대한 정치적 갈등을 드러내고 있다.

전남도의 문화유산 지정과 서울 동교동 사저 매매 논란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유산을 어떻게 보존하고 기릴 것인가에 대한 사회적, 정치적 논의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고 있다.

전남도는 또 ▲순천 금룡사 소장 지장보살본원경 ▲여수 한산사 지장시왕도 ▲해남 방죽샘과 중수비 ▲해남 남천교 및 어성교 중수비와 청류정 표석 ▲화순 용암사 목조보살좌상 ▲나주 척서정 ▲장흥 열호재 ▲장흥 수의봉 위원량 망곡 암각시문 8건을 문화유산 지정 예고했다.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검토한 후 문화유산위원회 최종 심의를 거쳐 도 문화유산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