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씨티에스가 3일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파트너사들과 함께 ‘다이아 넥서스 서밋2024‘를 개최했다.
대원씨티에스가 3일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파트너사들과 함께 ‘다이아 넥서스 서밋2024‘를 개최했다.

IT 인프라 공급 전문 대원씨티에스(대표 김보경, 이상호, 하성원)는 3일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파트너사들과 '다이아 넥서스 서밋 2024'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AI 중심의 차세대 연결성 전략'을 주제로 반도체 전문 딥엑스와 ML옵스 전문 노타 AI, AI 인프라 솔루션 전문 케이투스, 슈퍼마이크로, 텐 AI 등이 파트너사로 참석했다. 

김광정 대원씨티에스 엔터프라이즈부문 대표는 환영사를 통해 "NPU, GPU, TPU 등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싱 유닛(XPU)를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플랫폼이 다이아 넥서스 플랫폼"이라며 "모든 기업들을 위한 전용 AI 인프라부터 온디바이스 AI까지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원씨티에스는 통합 설계 역량을 바탕으로 데이터센터에서 엣지에 이르는 포괄적인 AI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데이터 플랫폼, AI엣지를 위한 NPU와 ML옵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케이투스, 수퍼마이크로와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를 위한 AI 서버를, 바스트 데이터(VAST DATA)와 데이터솔루션을, 아리스타(Arista)와 네트워크 환경, 텐 AI ML옵스 플랫폼을 통합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특히 딥엑스와 협력을 통해 엣지 AI까지 확장된 인프라를 제공한다. 박영섭 딥엑스 전략마케팅 이사는 '4차 산업혁명을 넘어 초지능 사회를 위한 온디바이스 AI반도체'라는 주제로 딥엑스의 온디바이스 AI용 반도체 포트폴리오와 생태계 조성을 위한 노력을 발표했다. 

박 이사는 "딥엑스는 엔비디아보다 저전력 저비용으로 AI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라며 "기업이 AI를 도입하려면 데이터, 인프라, 서비스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이아 넥서스 플랫폼과 같은 통합 플랫폼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또 양석열 노타AI 이사는 VLM을 활용한 엣지 AI 운영사례를 들며 NPU 기반의 지능형 알고리즘을, 케이투스는 온디바이스 AI 인프라 자원을 소개했다.

2부에서는 김세진 슈퍼마이크로 FAE가 AI용 GPU 서버 인프라를, 오세진 텐 AI 대표가 ML옵스 솔루션을 소개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