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글로벌 모바일 AP 제조사 미디어텍, 인공지능(AI) 경량화 전문 노타와 협력해 '온디바이스 AI 기반 단말 소비전력 절감 초기 단계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증가하는 스마트폰 소비 전력 문제를 개선하고자 기술 개발에 나섰다. 단말기와 이동통신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완료 이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기지국과의 연결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최근 통화 이외에도 상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소비자 이용 행태를 고려해 전력 절감의 필요성을 실감했다는 설명이다. 단말 자체적으로 일정 시간의 트래픽 발생 여부를 예측, 단말과 기지국 사이 연결 상태를 최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이다. 일종의 온디바이스 원리다.
특히 서버가 아닌 스마트폰이 사용자 데이터 발생의 원천으로서 적합한 예측을 내놓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온디바이스 AI 형태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스타트업 노타와 글로벌 모바일 AP 제조사 미디어텍과의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협력 기업은 단말 전력 효율화에 적합한 AI 모델을 선정, 스마트폰에서 저지연-저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양자화, 가지치기 등 기법을 활용해 AI 모델 경량화에 집중했다.
또 경량화한 AI 모델을 실제 스마트폰에 탑재하는 모뎀에 구현, 실시간 동작을 확인해 일정 수준 이상의 데이터 발생 예측 정확도를 확보했다고 전했다.
특히 온디바이스 AI에 대한 통신 영역의 선제적 연구개발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하드웨어 측면의 배터리 용량 증가 및 부품 저전력화 등과 병행할 경우 배터리 지속 시간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SKT는 이달 말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2024에서 구체적인 연구개발 성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향후 관련 AI 모델 고도화 및 네트워크 연동 시험을 통해 기술적 완성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이외에도 5G 진화 및 6G를 대비해 AI를 활용한 통신 인프라의 고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코어망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페이징'기술과 무선망을 대상으로 한 '무선망 적응' 기술, '가상화 기지국 소비전력 절감' 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담당은 “온디바이스 AI 기반 통신 기술의 진화 가능성을 확인한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고객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이동통신 각 영역에 AI를 적용해 나가는 연구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 SKT, 상반기 내 '엑스칼리버' 호주 공급...AI 수의 진단 보조
- SKT "AI 데이터센터·엔터프라이즈·반도체로 올해 매출 견인"
- SKT, 기업·기관 특화 생성 AI 플랫폼 ‘엔터프라이즈 AI 마켓’ 출시
- KT그룹, AI·IT·클라우드 인재 확보..."사원부터 임원까지 전방위 수시 채용"
- SKT, AI 데이터센터 시장 진출...'유니콘' 람다에 투자 진행
- 대원씨티에스, 기업용 AI 통합 플랫폼 ‘다이아 넥서스’ 공개
- 노타, 두바이 ITS 세계총회서 ‘엣지 AI 교통 관리 혁신’ 발표
- 노타, 온디바이스·생성AI로 기술로 최근 3회 수상 달성..."기술력 인정 받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