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일본에 반도체 추가 제재시 경제 보복에 나서겠다고 경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는 2일(현지시간)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 중국 고위 당국자가 일본 측에 중국에 대한 반도체 장비 판매 및 유지보수를 추가로 제한하면 심각한 경제보복을 하겠다는 듯을 수차례 전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다르면 중국은 토요타 자동차 제조에 사용하는 주요 희귀광물 소재 공급망을 차단하는 방안 등을 고려하고 있다.
토요타도 일본 정부에 핵심 광물에 대한 접근을 중국 정부가 차단할 수 있다고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0년 동중국해 영유권 분쟁이 고조됐을 당시,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막아 도요타와 일본의 전자산업이 피해를 준 전례가 있는 만큼, 일본은 사태 재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토요타는 자동차 기업이지만, 일본의 반도체 칩 정책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다. 대만 TSMC가 구마모토에 건설 중인 새로운 반도체 칩 캠퍼스에도 투자했다.
이 때문에 일본 정부는 반도체 수출규제 검토에 일본 최대 반도체장비 제조사인 도쿄일렉트론 못지않게 토요타를 고려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그동안 도쿄일렉트론 등 일본 기업이 중국에 첨단 반도체 제조 장비를 판매 하거나 유지 보수하지 못하도록 일본 정부를 압박해왔다. 이에 일본은 중국 추가 제재에는 미국의 중요 광물 공급 보장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특히 중국이 지난해 갈륨, 게르마늄, 흑연의 수출을 제한한 뒤 미국 지원 목소리가 더 커졌다는 후문이다.
일본과 합의가 결렬돼도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을 적용하는 등 미국이 더 공격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FDPR은 다른 나라에서 만든 제품이라도 미국산 소프트웨어나 장비, 기술 등을 조금이라도 사용했으면 수출할 때 미국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한 규정이다.
미 행정부 고위 관계자는 “미국은 외교적 해결책을 선호하지만 FDPR 사용을 배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일 당국과 도쿄일렉트론 등은 논평 요청에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토요타는 "최적의 조달전략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는 광물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다"라는 말을 반복했다.
중국 정부는 경제적 보복에 관한 이야기는 금시초문이라며, 대신 일본을 향한 미국의 강압을 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