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미국이 첨단 인공지능(AI) 개발에 사용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중국에 공급하지 못하도록 하는 반도체 추가 통제 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조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31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미국이 이르면 다음 달에 공개할 것으로 알려진 중국 반도체 추가 수출 통제 조치에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등의 HBM를 포함하는 내용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아직은 최종 결정이 내려진 것은 아니지만, 새 조치는 HBM3와 HBM3E를 비롯해 HBM2 이상의 최첨단 인공지능(AI) 메모리칩과 이를 만들기 위한 장비를 겨냥한 것이다. 특히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 등 대표적 업체들의 중국 공급을 통제하기 위한 조치라는 설명이다.

현재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미국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와 같은 미국의 설계 소프트웨어와 장비를 이용하고 있어, 제재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이 아닌 국가에서 생산된 제품이어도, 미국산 기술이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제품일 경우 미국 정부가 해당 제품의 판매를 금지할 수 있도록 한 해외직접제품규칙(FDPR)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미국 정부의 HBM 수출 규제가 시행되더라도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HBM 매출에는 당장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 기업의 HBM은 엔비디아를 포함해 대부분 미국의 대형 팹리스 기업으로 직접 수출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HBM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 입장에서는 전체 시장 규모를 늘려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결국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또 이에 따라 중국이 자체적인 HBM 개발에 나서는 것도 우리 기업에는 부정적이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