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네이버클라우드)
(사진=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대표 김유원)는 경량 모델 '하이퍼클로바X 대시(HCX-DASH)’를 기반으로 금융 환경에 특화한 소형언어모델(sLM)을 미래에셋증권의 온프레미스 환경에 구축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공공 및 금융 분야 기업들이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생성 인공지능(AI)을 활용할 수 있도록 주요 파트너사들과 함께 대형언어모델(LLM) 구축형 비즈니스를 시작했고, 첫 사례가 미래에셋증권이라고 설명했다.

구축형 LLM은 퍼블릭 클라우드가 아닌 기업이 자체 보유한 IT 인프라 내에서 구현되는 모델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HCX-DASH 및 미래에셋증권이 보유한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는 클래스 코드 등 기술 지원을 제공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사내 데이터를 학습, 금융 업무에 최적화한 sLM을 구축했다는 설명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일반적인 클라우드 기반의 하이퍼클로바X 서비스 ▲고객사들이 클라우드를 통해 직접 맞춤형 AI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클로바 스튜디오’ ▲고객사의 데이터센터 내 폐쇄된 사내망으로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는 ‘뉴로클라우드 포 하이퍼클로바X’에 이어 ▲기업 인프라에 설치해 사용할 수 있는 ‘구축형’까지 갖추게 됐다.

임태건 네이버클라우드 전무는 "기업의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라인업을 한층 더 강화하게 됐다”라며 “특히 구축형 LLM은 공공과 금융 기업들이 생성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