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형 KAIST총장이 27일 국회도서관에서 특별강연에 연사로 나섰다. (사진=KAIST)
이광형 KAIST총장이 27일 국회도서관에서 특별강연에 연사로 나섰다. (사진=KAIST)

“대한민국이 세계적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AI 기술은 21세기 필연기술 중 하나로 국가의 미래를 좌우할 것입니다. 이처럼 중요한 필연기술이 발전하는 데 필요한 전략은 국회에서 법 제도 개선을 통해 완성될 수 있습니다.”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이 27일 오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민희, 간사 김현·최형두)가 주최하는 특별강연의 연사로 나섰다.

ʻ21세기 필연(Inevitable) 기술과 대한민국의 전략ʼ을 주제로 진행된 이날 강연은 인류 발전에 필연적이며 피할 수 없는 기술을 ʻʻ필연(Inevitable) 기술ʼʼ로 정의, 전통 사상과 충돌하는 상황 속에서 일자리 창출과 국가 경쟁을 위한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진행됐다.

이 총장은 ʻʻ신기술이 출현해 전통 사상과 충돌하는 상황은 사회적인 혼란과 도전을 초래하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이를 잘 관리하고 활용한 나라들은 오히려 번영했던 것을 알 수 있다ʼʼ라며 사례들을 공유했다.

또 21세기 필연기술로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줄기세포·유전자가위 그리고 기후·에너지 기술을 꼽으며,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AI·반도체 기술에 대해서는 "앞으로 독자적인 AI을 보유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 중국 그리고 한국"이라며 "우리는 AI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동남아 및 아랍권 국가들과 연대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지원도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필연기술을 위한 법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전통사상과 국가 번영을 동시에 추구하기 위해서는 사상과 기술이 타협이 필요한데, 이러한 타협을 위한 장이 바로 국회"라며 "법제도 개선이 연구비 1조원 증액보다 더욱 효과가 높다"라고 강조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