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경제학자인 대런 에이스모글루 메사추세츠 공과대학(MIT) 교수가 인공지능(AI)으로 인한 일자리 위협이 크게 과장됐다고 지적했다. 향후 10년간 AI에 영향을 크게 받거나 대체될 직업은 전체의 5%에 불과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AI 과장광고에 따른 투자 붐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봤다.
블룸버그는 2일(현지시간) 에이스모글루 교수가 AI의 생산성이 기대에 못 미칠 것이며, 이에 따라 많은 기술기업은 엄청난 돈을 날릴 것으로 예측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에이스모글루 교수는 먼저 "나는 AI 비관주의자가 아니다"라고 전제했다. 자신이 주장하는 바는 AI에 대한 끊임없는 과장 광고 때문에 암울하게 보일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AI가 아무리 유망해도 과장 광고에 부응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그의 계산에 따르면, 모든 일자리 중 소수(5%)만이 앞으로 10년 동안 AI에 의해 대체되거나 크게 도움을 받을 준비가 돼 있다. 블루칼라는 물론 화이트칼라 중에서도 일부만이 AI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그 5%에서 경제 혁명을 기대할 수는 없다"라며 "결국 많은 돈이 낭비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 자체를 깎아내리지는 않았다. 그는 "오픈AI의 챗GPT와 같은 기술은 여러 면에서 매우 인상적"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현재는 물론, 앞으로 몇년간은 기술 수준이 인간을 대체할 정도가 되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인간 수준의 판단력을 갖추지 못하고 환각 같은 오류가 발생하면, 결국 기업에서 인간을 밀어내고 이를 채택할 가능성이 없다고 봤다. 이 경우 "AI는 건설이나 청소와 같은 물리적 작업 자동화에도 쓸모가 없다"라고 덧붙였다.
"이전에 근로자들이 수행하던 특정 단계를 충실하게 구현할 수 있는 매우 신뢰할 수 있는 정보나 모델의 능력이 필요하다"라는 결론이다. "AI는 코딩과 같은 분야에서 인간의 감독을 통해 활용될 수 있지만, 대부분 장소에서는 그렇게 할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또 "이 점은 AI가 현재 어디쯤 와 있는지 냉정하게 분석한 결과"라고 덧붙였다.
에이스모글루 교수는 MIT 교수 중 최고 직급인 연구소 교수(Institute Professor) 타이틀을 가지고 있으며, 10년 전 베스트 셀러인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Why Nations Fail)'로 이름을 알렸다. 특히 첨단 기술의 도입에 따른 영향 분석 전문으로, 몇년 전부터 AI의 가능성에 주목해 왔다.
그의 지적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지적되는 'AI 수익성' 지적과 궤를 같이한다. 이에 대해 향후 몇년간 전개될 것으로 예상하는 시나리오 3가지도 제시했다.
첫번째는 과장 광고가 천천히 식고, 기술의 실제 활용에 맞춰 투자가 조정되는 가장 온건한 시나리오다.
두번째는 투자 열풍이 1년 정도 더 지속, 결국 기술주 폭락으로 이어지고 기술 환멸을 불러오는 것이다, 이를 'AI의 겨울'이라고 칭했다.
마지막은 광기가 수년간 지속, 기업들은 일자리를 줄이고 수천억달러를 AI에 투자한다는 내용이다. 이 경우, 기업들은 결국 AI로 무엇을 할지를 찾아내는 데 실패, 해고한 근로자를 다시 고용한다는 결론이다.
그는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두번째와 마지막의 중간쯤을 지목했다. 대기업 경영진은 다른 기업에 뒤지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투자 붐은 더 지속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