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은행장 이승열)은 하나금융융합기술원과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기술력 기반 기계학습(ML) 모형’을 개발해 기업 평가를 실시했다고 8일 밝혔다.
기술력 기반 ML 모형은 2014년부터 기술신용평가(TCB)에 축적된 정보를 활용한다. 기업이 보유한 ▲특허 및 기술 인증▲기술 인력▲기술개발 현황▲기술 사업화 역량 등 기술관련 정보를 주로 활용해 기존 재무제표 기반의 신용평가에서 벗어나 기업의 현재 보유 기술을 기반으로 미래성장 가능성을 평가한다.
이는 기술평가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해 리스크 측면에서 설명 가능한 항목을 자동으로 판별하며, 평가결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변동성이 낮은 항목을 학습하도록 설계해 기술력 지표의 변별력을 제고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신용도에 긍정 및 부정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어 평가의 투명성 및 신뢰성을 확보했다.
하나은행 측은 "기술금융을 통해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유망 중소기업의 금융 혜택 확대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하나은행은 기술력 기반 ML 모형의 평가지표 중 안정성이 높은 지표를 신용평가 비재무항목에 적용한 통합여신모형(1단계)을 개발해 금융감독원 승인을 준비하고 있다. 승인이 완료되는 2025년 상반기부터 정상적인 통합여신모형을 운영할 방침이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