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여수시(시장 정기명)가 주최한 '60초로 즐기는 여수' 숏폼 영상 공모전에서 총 9편의 수상작이 발표되며, 다양한 창의적 아이디어로 여수의 매력을 전했다. 

최우수상에 선정된 '낭만 여수'는 챌린지 안무, 중독성 있는 랩, 그리고 독특한 화면 전환으로 여수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했다.

전남 여수시가 '60초로 즐기는 여수, 숏폼 영상 공모전' 수상작 9편을 선정·발표했다. (사진=여수시)
전남 여수시가 '60초로 즐기는 여수, 숏폼 영상 공모전' 수상작 9편을 선정·발표했다. (사진=여수시)

그러나 앞으로 여수의 매력을 더욱 다양하게 보여주기 위해 AI 기술을 활용한 숏폼 영상 제작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AI 기술은 제한된 시간 안에서 독창적인 콘텐츠를 만들어내야 하는 숏폼 영상에서 더욱 혁신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여기서 AI 기술의 활용과 그로 인한 미래적 가능성을 살펴보자.

AI와 숏폼 영상의 만남, 새로운 가능성의 시작

숏폼 영상은 짧은 시간 내에 강렬한 메시지와 재미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AI는 이러한 숏폼 영상 제작에서 획기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AI를 통해 영상 편집, 시각 효과, 음성 인식, 자동 자막 생성 등 많은 과정이 자동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생성형 AI는 사용자가 제공한 간단한 텍스트나 사진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영상 시나리오를 생성하거나, 편집 스타일을 추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AI가 자동으로 여수의 대표 관광지와 함께 주인공의 움직임에 맞춘 배경음악과 자막을 제안하거나, 영상에 독특한 필터 효과를 더해 감성적 분위기를 배가시킬 수 있다.

AI가 만든 숏폼 영상의 효과

자동화된 맞춤형 편집. AI는 다양한 관객층의 취향을 분석해 그에 맞는 편집 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다.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영상을 제작할 때 AI는 더 빠른 화면 전환과 생동감 있는 그래픽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차분하고 클래식한 스타일의 영상이 필요한 경우 적절한 필터와 배경음악을 사용할 수 있고, 이는 영상 제작 시간을 대폭 줄이고, 더욱 효과적인 콘텐츠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AI 기반 영상 분석과 추천. AI는 수상작이나 기존 여수 홍보 영상들을 분석해 어떤 영상 스타일이 더 많은 조회수와 호응을 얻었는지 학습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더 많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최적화된 영상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AI는 영상을 분석하고, 관객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더 나은 콘텐츠 제작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가상 캐릭터와 환경 시뮬레이션. 여수의 자연경관과 관광지를 더 생동감 있게 표현하기 위해 AI는 가상 캐릭터와 환경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AI는 여수의 명소를 기반으로 가상으로 제작된 관광지와 인물들을 자연스럽게 결합해, 마치 실제로 그곳에 있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여수의 매력을 가상 관광 콘텐츠로 확장할 수 있으며, 직접 방문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도 여수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할 수 있다.

AI 활용으로 가능한 여수 숏폼 영상의 미래 발전 방향

개인화된 관광 콘텐츠 제작. AI는 관람객의 성향과 관심사에 맞춘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좋아하는 장소나 활동을 AI가 분석해 그에 맞는 맞춤형 여행 코스를 소개하는 짧은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화된 콘텐츠는 관객의 몰입감을 높이고, 여수의 다양한 관광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홍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AI와 협력한 창작자들. AI는 창작자와의 협업 도구로서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영상 제작자들은 AI 도구를 통해 더욱 빠르고 창의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또한 AI가 제공하는 다양한 편집 옵션과 그래픽 효과를 활용해 기존보다 더 높은 수준의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이는 지역 크리에이터들이 여수를 주제로 한 창작 활동을 더욱 활발하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이다.

실시간 인터랙티브 영상. 미래에는 AI 기반의 실시간 인터랙티브 영상이 가능해질 것이다. 관객들은 숏폼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AI가 제공하는 선택지를 통해 스토리를 변화시키거나 여수의 다른 관광지를 탐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받게 된다. 

이는 시청자에게 더욱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 여수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할 것이다.

AI로 진화하는 여수의 콘텐츠 홍보 전략

여수시는 이번 숏폼 영상 공모전을 통해 여수의 매력을 60초 안에 표현하며 많은 관심을 모았다. 그러나 AI 기술을 접목한 숏폼 영상은 여수의 홍보 전략을 한층 더 진보된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 

AI의 자동화, 맞춤형 콘텐츠, 그리고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새로운 관광 경험은 여수의 매력을 전 세계로 확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AI는 영상 제작 과정을 혁신적으로 바꾸며, 더욱 다채로운 방식으로 여수의 이야기를 전할 수 있다. 여수시는 이러한 AI 기술을 활용해 앞으로도 창의적이고 매력적인 영상 콘텐츠로 세계적인 관광지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