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엔비디아가 릴라이언스와 타타 등 인도 대기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성장 잠재력이 큰 것으로 평가되는 인도의 인공지능(AI)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블룸버그는 24일(현지시간) 엔비디아가 인도에 AI 허브를 구축하기 위해 현지 대기업인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와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보도했다.

이날 인도 뭄바이에서 열린 '엔비디아 AI 서밋'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인도 최고 갑부 무케시 암바니는 인도에서의 AI 기술 채택을 촉진하기 위한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릴라이언스가 구자라트주에 건설 중인 1기가와트(GW) 규모의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의 최신 '블랙웰' 칩을 탑재한다는 내용이다.

서밋에서 젠슨 황 CEO은 타타 컨설팅 서비스, 인포시스 등 인도의 다른 대기업과도 AI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또 요타 데이터 서비스와 타타가 주도하는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수만개의 호퍼 AI 칩을 공급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외에도 엔비디아는 힌디어로 된 소형언어모델(sLM) '네모트론-4-미니 힌디어 4B(Nemotron-4-Mini-Hindi 4B)'를 공개했다. 이를 통해 인도 기업 마힌드라의 힌디어 대형언어모델(LLM) 구축을 지원하고, 전자상거래 업체 플립카트의 대화형 고객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했다. 인도의 의료 기업들과도 협력해 환자 치료 및 연구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기로 했다.

젠슨 황 CEO는 "인도가 지금까지는 소프트웨어를 수출했지만, 앞으로는 AI를 수출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도는 거대한 성장 잠재력을 가진 AI 시장이다. AI 인프라를 갖추기 위해서는 데이터센터 구축이 필수적이고, 이 과정에서 AI 칩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인도가 중국을 대체해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주요 시장으로 부상할 수 있다. 이는 소버린 AI를 강조하는 젠슨 황 CEO의 의도와 맞아 떨어진다.  

한편, 젠슨 황 CEO는 인도에서 록스타와 같은 환영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행사 입장권은 일찌감치 매진됐고, 수천루피를 들여 행사에 참석한 기술 애호가들도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 참석자는 “이건 마치 기술자들을 위한 '콜드플레이 콘서트’ 같았다”라고 밝혔다. 콜드플레이는 21세기 가장 성공한 록밴드 중 하나로 꼽힌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