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AI) 인재 유치를 위해 억대 연봉과 파격적인 혜택을 제공하며 글로벌 인재 확보 경쟁에 나서고 있다. 이는 중국 내 자연어 처리(NLP) 전문가 수요 급증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1일 홍콩 베이징대학교와 채용 플랫폼 지롄자오핀의 보고서를 인용, 올해 상반기 중국 전역에서 AI 학습에 필수적인 NLP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전년 대비 111%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의 월평균 급여는 2만4007위안(약 466만원)으로, 이는 중국 내 평균 IT 근로자의 월급인 1만1000위안(약 213만원)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중국의 빅테크는 최고 수준의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파격적인 연봉을 제안하고 있다. 이런 고액 연봉이 채용의 시급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중국 내 고급 AI 인재 부족 현상을 보여준다는 분석이다.
그중 샤오미는 AI 모델, 컴퓨터 비전, 딥러닝, 자율주행 및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AI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특별 채용 세션을 열 계획이다. 일부 지원자에게 필기시험을 생략하고, 지원서를 해당 비즈니스 부서에서 직접 검토하는 ‘패스트 트랙’ 제도를 통해 채용 속도를 높일 예정이다.
이 외에도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 검색 엔진 기업 바이두, 음식 배달 업체 메이투안 등 중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AI 인재 채용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의 AI 일자리는 지역별 분포에서도 특징이 뚜렷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징은 교육 기관, 기술 연구 시설, 스타트업이 많아 중국 내 AI 관련 일자리의 약 5분의 1을 차지하고 있으며, 뒤를 이어 심천, 상하이, 광저우, 항저우 등이 주요 AI 허브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대도시 집중 현상이 내륙 지역과의 기술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