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9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전남 광양의 유일한 분만산부인과인 미래여성의원을 방문했다.
광양시는 전남에서 청년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도시임에도, 분만 가능 산부인과는 미래여성의원 단 한 곳뿐이다.
미래여성의원은 2021년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의 도움으로 가까스로 운영을 이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전문 의료진의 과중한 업무와 지속적인 운영난에 직면해 있다.
이날 방문에서 한 총리는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겠다"며 산모와 의료진을 격려했다. 하지만 단순한 격려를 넘어, 지속 가능한 출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근본적인 정책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광양, 청년이 많은 도시지만 출산환경은 열악
광양은 18세~45세 청년층 비율이 높은 도시로, 매년 청년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미래여성의원이 지역 내 유일한 분만 가능 의료기관이라는 점은 출산 인프라의 취약성을 그대로 드러낸다.
2023년 광양의 출생아 수는 832명으로, 그중 26.5%가 미래여성의원에서 태어났다.
이는 의료진의 헌신 덕분이지만, 평균 연령 60대인 전문의 3명이 24시간 교대로 운영하는 현실은 의료진의 번아웃과 운영 지속 가능성에 심각한 의문을 던진다.
인구감소 문제, 출산 지원 인프라 강화가 핵심
전남은 인구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될 정도로 출산율 저하와 인구 유출 문제가 심각하다.
미래여성의원이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의 도움을 받아 운영되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포괄적인 출산 지원 정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출산율 증가를 위해서는 단순히 의료기관 운영비를 지원하는 것을 넘어선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산부인과와 같은 기본 의료서비스 확충은 물론, 보육시설 확대, 주거 안정 지원, 육아휴직 확대 등 다방면의 인프라 개선이 병행되어야 한다.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긍정적인 시작점
미래여성의원은 전라남도와 광양시의 재정 지원을 받아 2024년 7월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사업에 착수했고 2025년 10월 준공 예정이다.
이는 지역 산모들에게 중요한 지원책이 될 것이지만, 지역사회 전반의 인구 증감 효과를 이끌어내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정부는 산후조리원 건립에 그치지 않고, 지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종합적인 출산·양육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은 단순히 출산율 증가를 넘어서 지역 인구 구조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총리 방문,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 정책으로 이어져야
한덕수 총리의 이번 방문은 분만취약지 문제를 정부 차원에서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는 시작에 불과하다.
지역 의료진의 헌신에만 의존하는 구조를 바꾸고, 분만취약지의 근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인구감소가 심화되는 전남의 현실 속에서 정부는 출산율 증가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단순한 일회성 격려 방문을 넘어, 지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는 정책적 리더십이 요구된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