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카카오모빌리티)
(사진=카카오모빌리티)

■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11일 경기 성남 사옥을 방문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교통포럼(ITF) 글로벌 방문단에게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12일부터 진행하는 ‘글로벌 모빌리티 컨퍼런스’ 참석을 계기로 이뤄졌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율주행차량 및 로봇 서비스 ‘브링’, 드론 등을 소개했다. 로빈 체이스 집카(Zipcar) 창립자는 “자율주행 구현 수준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라고 전했다.

■ 의료 인공지능(AI) 전문 루닛(대표 서범석)은 AI 기반 면역조직염색(IHC) 분석 솔루션 ‘루닛 스코프 ulHC’를 이용한 연구 결과를 네이처 자매지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면역조직염색은 암조직 내 특정 단백질이나 항원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기존에는 대규모 데이터를 구하기 어려워 AI 분석 모델 개발에 제약이 있었지만, 루닛의 솔루션을 통해 추가학습 없이 AI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 잡코리아(대표 윤현준)는 최근 출시한 디지털 명함 앱 ‘눜(nooc)’이 ‘스마트앱어워드 2024’에서 정보서비스 분야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눜’은 명함 등록이 용이한 인터페이스(UI) 등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설명이다. 

■ 앤시스코리아(대표 박주일)는 ‘2024 한국산업지능화대상’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공급망 확대 부문의 성과를 인정받았으며, 디지털 시뮬레이션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현장에서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했다는 설명이다. 박주일 앤시스코리아 대표는 “기술 혁신을 이어가며 더 많은 기업들과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프로메디우스(대표 정성현)는 AI 기반 골다공증 스크리닝 소프트웨어가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프로스CXR : OSTEO’는 골다공증의 의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선별 및 진단보조 소프트웨어로, 조기 발견이 어려운 골다공증을 미리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 임상적 유효성을 추가 입증하기 위해 국내외 주요 병원과 협력 중이다.

■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가 공작기계 프로그래밍 시간을 75% 단축할 수 있는 자동화된 CAM 프로그래밍 툴 ‘프로플랜AI(ProPlanAI)’를 공개했다. CAM프로그래머가 생성한 데이터를 학습해 기업 특성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정식 출시는 2025년 1분기 예정이다.

■ 카카오 IT 솔루션 개발 자회사 디케이테크인(대표 이원주)은 비영리단체를 대상으로 ’카카오워크 1년 무료 이용권‘ 제공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희망하는 단체는 30일까지 카카오워크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 KT그룹의 IT 서비스 자회사 kt ds(대표 이상국)는 사내 아이디톤 ‘디오에스(Do!S)’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kt ds의 AI 플랫폼 ’아이온유‘를 활용한 AI 해커톤에서 ‘Gen. AI 기반 RPA Workflow 개발’ ‘KT 유무선 명세서 품질 검수업무자동화 프로세스 제안’ ‘ES(Energy Saving) 설정 제어 판단 예측 AI 모델 제안’ 등의 아이디어가 선정됐다.

■ AI 교육 전문 엘리스랩(대표 김재원)은 부산경영자총협회와 함께 19일 엘리스랩 부산센터에서 ‘제21회 부산업체 AI 리더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에는 명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공간 AI 기반 자율 이동 로봇 기술동향 및 전망’을 주제로, 이진형 KT 상무가 ‘생성 AI 트렌드 전망 및 인사이트’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 생성 AI 전문 포티투마루(대표 김동환)는 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인 ‘컴업2024’에서 UAE 경제부 대표 및 기업 사절단과 1대 1 밋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더 라인 프로젝트 및 UAE 샤르자와 진행 중인 생성 AI 에이전트 프로젝트 등 다양한 중동 시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협업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 데이터사이언스랩은 유희경 대표가 데이터진흥주간 시상식에서 데이터 산업 진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데이터진흥주간 2일 차에 열린 ‘데이터와 AI, 그리고 나’를 주제로 열린 토크콘서트에서 데이터 산업의 현황과 미래 인재상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