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국AI교육협회)
2025년 을사년 한국을 예측하는 10가지 키워드를 정리해달라는 요청에 대한 클로드의 답변 (사진=한국AI교육협회)

한국AI교육협회·인공지능융합연구소는 앤트로픽의 '클로드'를 통해 '2025년 을사년 한국을 예측하는 10가지 키워드'를 추출했다고 30일 밝혔다.

양 단체의 수장인 문형남 숙명여대 교수는 ”여러 생성 AI 중에 앤트로픽이 만든 클로드의 답변은 다른 생성 AI보다 퀄리티가 좋은 경우가 많다"라고 전했다.

이어 "이번에 선정된 SNAKE와 KOREA의 이니셜로 만들어진 ‘10개의 키워드’는 급격하게 변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2025년의 한국에 대해 정부의 경제 운용계획 수립, 기업과 기관의 사업계획 수립, 개인의 목표 설정 등에 좋은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래는 클로드의 답변이다. 

SNAKE와 KOREA를 활용한 2025년 키워드 10가지

2025년 을사년 한국을 예측하는 10가지 키워드를 SNAKE와 KOREA로 정리하겠습니다:

1. SNAKE 키워드를 활용한 2025년 전망

- Serpent Year (뱀의 해: 변화와 지혜의 상징): 2025 을사년은 뱀의 해로, 급격한 변화 속 지혜로운 대응이 필요한 시기
- National Leadership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과 정치 변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으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차기 대선을 앞둔 권력구도 재편 가능성
- American Politics (트럼프 대통령 취임이 한미 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국 트럼프 대통령 재취임시 한미동맹 재정립과 대북정책 변화 예상
- Knowledge Economy (AI, 디지털 전환 등 지식기반 경제로의 진화): AI와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산업구조와 일자리 변화
- Environmental Issues (기후변화 대응과 친환경 정책 강화): ESG 경영 확산과 탄소중립 정책 강화

2. KOREA 키워드를 활용한 2025년 전망

- Korean Wave (K-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 AI, 메타버스 등 신기술 결합한 새로운 한류 콘텐츠 등장
- Overseas Relations (미중 갈등 속 외교 전략 재정립): 미중 갈등과 글로벌 정세 변화에 따른 외교 전략 수정
- Real Estate Market (부동산 시장 변동성과 주거정책): 금리 변동과 부동산 정책 변화에 따른 시장 불안정성
- Economic Transformation (저성장 극복과 산업구조 재편): 글로벌 경기침체 속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필요
- Aging Society (초고령화 사회 대응과 세대갈등 해소):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복지·의료 서비스 수요 증가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