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경기도)
(사진=경기도)

경기도는 6일 오후 2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2025전력자립 10만 가구 프로젝트 시군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31개 시군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지난해와 달라진 전력자립 10만 가구 프로젝트 세부 사업계획을 공유하고, 자체 개발한 ‘경기도 주택 태양광 지원 시스템’ 사용 방법을 교육할 계획이다.

경기는 올해 사업 예산을 지난해 51억원에서 올해 106억원으로 2배 이상 증액하고 지원 방식도 개선했다. 주택 태양광 설치를 원하는 가구는 많지만 예산 부족으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도민의 자부담 비율을 30%에서 50%로 높이는 대신 더 많은 가구에 혜택이 돌아가도록 했다는 설명이다.

이로써 지원 규모는 지난해 2600여 가구에서 올해 6100여 가구로 늘어났다. 도는 지난해 국비 지원이 있는 주택 태양광 설치 사업에서 국비 지원이 2023년 대비 54% 줄어듦에 따라 도비 위주의 주택 태양광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지원 방식은 ▲시군 연계 사업 ▲경기도 단독 지원 사업 두 가지로 나뉘며, 경기도 단독 지원 사업은 일시납 또는 분할납 중 선택할 수 있다.

분할납 지원 방식은 올해 새로 도입된 방식으로 설치 비용을 한번에 납부하기 어려운 도민들을 위해 7년에 걸쳐 지불할 수 있도록 했다. 자부담 비율이 10%p 더 높지만, 별도의 이자 없이 7년 분할 납부를 고려하면 실제 도민 자부담은 50%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경기가 지난해 사업에 참여한 50가구를 표본 조사한 결과, 가구당 월평균 전기요금이 약 7만원씩 절감돼 약 3년이면 주택 태양광 설치비용을 회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사용량이 많은 가구는 더 큰 폭으로 요금이 절감돼 더 빨리 비용이 회수될 수 있다. 주택 태양광 설치비 기준은 한국에너지공단 기준 단가에 따라 추후 결정될 예정이다.

김연지 경기도 에너지산업과장은 “경기도가 주택 태양광 예산을 대폭 증액한 이유는 전기료 절감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며 “도민의 생활비 부담을 줄이고, 국내 태양광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며, 기후위기 대응에 경기도가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이재승 기자 energy@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