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미국 정부가 외국 테러 단체를 지원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외국인들의 비자 취소를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소셜 미디어 분석에 AI를 투입한다는 내용이다.

악시오스는 6일(현지시간) 미국 국무부 고위 관계자들을 인용, 마르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이 하마스나 다른 테러 단체 지원자를 색출하기 위해 '포착 및 취소(Catch and Revoke)'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AI로 소셜 미디어 계정을 검토, 하마스가 2023년 10월7일 이스라엘을 공격한 이후 표출된 테러에 동조한 혐의에 대한 증거를 찾고 있다.

또 바이든 행정부 당시 비자를 발급받은 사람 중 체포됐지만 미국 체류가 허용된 사례가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조사할 계획이다.

나아가 외국인이 반이스라엘 시위와 유대인 학생들의 소송에 대한 뉴스까지 확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조사는 외국인의 행동과 발언에 대한 미국 정부의 감시가 극적으로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는 평이다.

이에 앞서 정부 관계자들은 2023년 10월 이후 교환 학생 시스템에 참여한 10만명을 조사, 학생이 체포되거나 학교에서 퇴학당해 비자가 취소된 적이 있는지 확인했다. 그러나 비자 취소 사례는 단 한건도 없었다며 "이는 바이든 정부가 법 집행에 눈을 감았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비난했다.

1952년 제정된 이민 국적법에 따라 국무장관은 위협으로 간주하는 외국인의 비자를 취소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루비오 장관은 "우리 대학과 거리에서 하마스가 한 일을 축하하는 행진을 본다. 그 사람들은 돌아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미 트럼프 정부의 방침은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는 이스라엘 반대 시위에서 이탈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한 반발도 있다. 미국-아랍 차별금지위원회 위원장인 아베드 아유브는 "이는 헌법에 보장된 언론의 자유 문제"라며 "AI가 등장하며 언론을 감시하고 잘못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더욱 무섭다"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