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 카카오의장이 18일 오후 경기도 용인시 ‘카카오 AI캠퍼스’에서 주요 그룹사 임원들이 모인 가운데 경영 워크숍 ‘원 카카오 서밋‘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카카오)
정신아 카카오의장이 18일 오후 경기도 용인시 ‘카카오 AI캠퍼스’에서 주요 그룹사 임원들이 모인 가운데 경영 워크숍 ‘원 카카오 서밋‘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카카오)

카카오의 그룹사 대표들이 모여 인공지능(AI) 시대 전략을 공유했다. 모바일 시대의 카카오톡처럼, 카나나와 금융, 모빌리티 서비스 등으로 AI 대중화에 집중하자는 것이 목표다.

카카오그룹(의장 정신아)은 용인 카카오 AI캠퍼스에서 주요 그룹사 임원들이 모인 가운데 경영 워크숍 ‘원 카카오 서밋’을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정 의장은 기조연설에서 “15년 전 카카오는 모바일 혁명기 초입에 뛰어들어 사람들의 일상에 큰 변화를 만들었다”라며 “앞으로 15년 동안에도 AI를 통해 다시 한번 삶의 풍경을 바꾸고 새로운 미래의 문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시장에서 새로운 AI 기술과 서비스가 쏟아지는 상황에서도 대중의 일상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서비스는 아직 없다며, 카카오가 AI 대중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카카오의 ‘카나나‘ 모델부터 오픈AI의 '챗GPT'까지 다양한 언어모델을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오케스트레이션' 정책 ▲메시징·금융·모빌리티 등 주요 서비스를 하나로 엮는 에이전트 플랫폼 간의 생태계 비전 ▲사용자의 일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심층 데이터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정 의장은 “한정된 자원으로 글로벌 빅테크들과 국경 없는 경쟁을 벌여야 하는 만큼 ‘일단 해 보자’라는 접근은 위험하다”라며 “높은 시장 이해에 기반한 명확한 방향 설정, 효율적이고 속도감 있는 투자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카카오,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뱅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페이, 카카오픽코마 등 16개 주요 계열사 CEO와 CA협의체 위원장 등 160여명의 임원이 참석했다. 

또 윤호영 카카오뱅크는 AI와 금융의 결합을,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상생과 동반 성장의 기조에서 진행 중인 신사업 방향을 공유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