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모델을 활용해 인공지능(AI) 서비스를 구축 중인 크라우드웍스가 중국 기술에 대한 국내 업계의 거부감 때문에 어려움을 호소했다.
인공지능(AI) 전문 크라우드웍스(대표 김우승)는 지난 21일 입장문을 통해 일본 법인 크라우드웍스 재팬(CWJ)이 일본 협력사인 아이초와 한국어 특화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전문 아이초는 최근 '딥시크-R1'을 기반으로 일본어 특화 모델을 개발한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크라우드웍스는 기업을 대상으로 제공할 한국어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이는 국내가 아닌, 해외 B2B 시장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또 금융이나 공공, 국방 등 보안이 민감한 산업에는 공급할 계획이 없다고 전했다.
해외시장에서 국내 콘텐츠나 커머스 확대에 따라 한국어 특화 AI 모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한국어 특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크라우드웍스가 딥시크와 파트너십을 맺었다며,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중국 기업 딥시크와는 어떤 형태로도 직접적인 협업 관계가 없다”라고 일축했다.
이어 보안 문제에 대한 오해도 큰 것 같다고 밝혔다.
크라우드웍스 관계자는 “예상보다 딥시크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반감이 커 난감하다”라며 “국내 AI 기업들도 오픈 소스 모델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고, 이번 서비스는 딥시크 앱이나 API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 유출을 우려할 이유가 없는데 오해가 있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크라우드웍스와 아이초가 공동으로 개발하는 모델은 중국 서버와는 별개로, 정보 유출 가능성이 없다는 설명이다. 모델을 물리적으로 제한된 네트워크 안에서 사용하는 온프레미스 방식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중국 서버로 개인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은 원천 차단된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등이 이 방식을 채택해 딥시크 모델을 서비스 중이다. 유럽에서는 유명 은행들도 모델을 다운받아 미세조정하고 있다. 비용 대비 효과가 뛰어난 탓이다.
국내에도 뤼튼테크놀로지스 등이 이미 별도 서버를 구축하고 딥시크를 서비스한 바 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