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구글)
(사진=구글)

구글이 '제미나이' 앱에 네이티브 이미지 기능을 정식 탑재했다. 오픈AI가 챗GPT에 이미지 생성 기능을 통합한 것과 똑같은 조치로, 이미지 일관성과 용도를 크게 확장했다.

구글은 30일(현지시간) 제미나이에 이미지 생성 기능을 통합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이날부터 전 세계 45개 이상 언어 사용자에게 점차 제공된다.

구글은 '이매진(Imagen)'이라는 별도의 이미지 생성 모델이 있다. 그러나 이번 업데이트는 챗GPT처럼 제미나이 내부에 이미지 기능을 직접 통합한 것이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AI가 생성한 이미지뿐 아니라 휴대폰이나 컴퓨터에서 업로드한 개인 사진까지 제미나이에 직접 입력하고 수정할 수 있다.

또 기존 AI 이미지 생성기보다 정교하고 문맥에 맞는 결과물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생성 이미지의 일관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구글은 이를 ‘다단계(Multi-step) 편집 흐름’이라고 설명하며, 텍스트와 이미지가 통합돼 더 풍부하고 맥락적인 응답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한 사진을 업로드한 뒤 머리 색을 바꾸는 등 다양한 모습을 생성할 수 있다.

또 아동용 동화를 텍스트로 생성하면서 동시에 삽화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챗GPT처럼 4컷 만화를 생성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구글은 지난 3월 'AI 스튜디오'를 통해 '제미나이 2.0 플래시'의 네이티브 이미지 생성 기능을 실험용으로 출시, 테스트해 왔다. 당시 이 기능은 뛰어난 품질로 호평받았지만, 동시에 이미지의 워터마크를 제거할 수 있다는 논란도 일으켰다. 

문제가 됐던 워터마크 문제에 대해서도 해결책을 소개했다. “제미나이를 통해 생성되거나 편집된 이미지에는 보이지 않는 워터마크가 삽입된다”라고 밝혔다.

또 “눈에 보이는 워터마크를 추가하는 방안도 실험 중”이라고 덧붙였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