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근섭 CJ ENM 전략기획담당 (사진=CJ ENM )
신근섭 CJ ENM 전략기획담당 (사진=CJ ENM )

CJ ENM(대표 윤상현)은 30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한 CJ ENM 센터에서 콘텐츠 제작에 사용되는 인공지능(AI)기술과 자체 제작한 AI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선보였다. 

자체 개발한 AI 기술로 ‘시네마틱 AI’와 ‘AI 스크립트’를 공개했다. 

시네마틱 AI는 드라마, 영화 등 내러티브 콘텐츠에 필요한 이미지·비디오·사운드·보이스 등을 원스톱으로 제작할 수 있어 AI 콘텐츠 제작 효율성을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캐릭터와 배경을 3D로 자동 데이터화하는 기술도 탑재해 기존 AI 콘텐츠 제작에서 한계로 지적됐던 캐릭터 일관성 유지가 가능해졌다는 설명이다.

AI 스크립트는 콘텐츠 트렌드, 소비자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잠재력 있는 원천 IP를 발굴한 후 적합한 장르 및 미디어를 제안한다. 함축적 의미가 많은 문학적 언어에 대한 이해도가 우수한 것이 특징이라고 전했다.

신근섭 CJ ENM 전략기획담당은 “현재 기획, 제작, 유통·마케팅 등 콘텐츠 제작 단계 전반에 AI기술을 적용해 프로세스를 선진화하는 한편, 다양한 장르와 포맷의 AI 콘텐츠 제작을 확대해 신유형 원천 IP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라며 “AI 기술, 콘텐츠 기획, 사업 역량을 모두 겸비한 전문 크리에이터를 양성하고 AI 콘텐츠에 특화된 조직을 확대해 글로벌 AI 스튜디오로 도약하겠다”라고 밝혔다

캣 비기(Cat Biggie) 스틸 이미지. (사진=CJ ENM)
캣 비기(Cat Biggie) 스틸 이미지. (사진=CJ ENM)

이날 행사에는 CJ ENM이 AI로 제작한 애니메이션 '캣 비기(Cat Biggie)'도 공개됐다. AI를 활용해 6명의 전문가가 2분 분량의 숏폼 총 30편을 5개월만에 제작했다.

'캣 비기' 기획 및 제작을 총괄한 백현정 CJ ENM AI 사업추진팀장은 “실사에 비해 동작이 크고 다채로운 애니메이션 영상의 특성을 AI로 제어하고 표현하는 것이 관건이었다”며 “자체 개발한 ‘시네마틱 AI’로 캐릭터를 3D 데이터로 만들고, 이를 영상 제작 시스템에 학습시켜 완성도 높은 작품을 선보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캣 비기는 7월 중 유튜브로 공개된다. 이밖에도 올해 안에 CJ ENM은 한국 정서를 AI 기술로 구현한 장편 영화 '아파트'와 신화와 관련한 모험 이야기를 그린 AI 드라마 시리즈 '레전드' 등을 선보일 계획이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