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데이터 연구 전문 CEO스코어는 국내 AI 관련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을 대상으로 AI 경쟁력을 종합 평가한 결과, 삼성전자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고 10일 밝혔다.
주요 기업의 ▲기술력(특허 피인용) ▲특허 활동(특허 등록 수) ▲학술 활동(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연구 영향력(논문 인용 수) ▲AI 기술인력 ▲AI 전공인력 등 총 6개 부문으로 나누어, 주요 기업의 AI 경쟁력 평가를 진행했다. 항목별 1위 기업의 수치를 100점으로 환산, 나머지 기업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점수를 매겼다.
조사 결과, 삼성전자가 각 부문에서 600점 만점을 기록하며 종합 1위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특허 등록 1079건, 특허 피인용 1347회, 논문 등재 59건, 논문 인용 315회, AI 기술인력 5만872명, AI 전공인력 2만8058명 등으로 성과 지표가 집계됐다.
이어서 네이버가 2위, LG가 3위로 올랐다. LG의 경우, LG그룹내 AI 연구를 총괄하는 LG AI연구원과 사업을 담당하는 LG전자의 역량을 합산한 수치다.
업종별 AI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 AI 경쟁력이 높은 기업과 낮은 기업간 우열이 확연히 드러났다.
제조 분야에서는 삼성전자가 압도적 1위에 올랐다. LG는 특허, 논문 등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고, AI 기술 및 전공 인력 수에서도 각각 7958명, 3006명을 기록하며 2위를 기록했다.
3위에 오른 현대자동차는 특허 156건(피인용 82회)과 함께 세계 3대 AI 학회에 AI 관련 논문 1편을 등재하고, AI 기술 및 전공 인력은 각각 2609명, 779명으로 조사됐다.
인터넷·플랫폼 업종에서는 네이버가 압도적인 학술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1위를 차지했다. 글로벌 AI 학회에 논문 25편을 등재하고 247회의 인용을 기록하며 업종 내 가장 높은 학술 성과를 보였다. 또 AI 관련 특허는 204건을 등록했고, AI 기술인력 2113명, 전공인력 838명을 보유해 국내 최대 규모의 맨 파워를 확보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최대 커머스 업체인 쿠팡도 5434명에 달하는 방대한 AI 기술 인력을 확보하며 관련 업종 2위를 기록했지만, AI 관련 논문은 4편(인용 13회)에 그쳐 연구 역량은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이 외에도 카카오가 특허 41건, 논문 1편, AI 기술인력 991명 등을 기록했지만, 네이버와 쿠팡과는 차이를 보였다.
통신 3사 중에서는 KT가 특허 80건(피인용 94회), 논문 3편(인용 58회) 등 각 항목에서 고른 성과를 보이며 선두를 차지했다.
SKT는 특허 등록( 101건)과 AI 기술 인력(1358명), AI 전공 인력(508명) 항목에서 KT에 앞섰으나, 세계 3대 학회 등재 논문은 없었다. LGU+는 특허 45건(피인용 14회)과 논문 1편으로, 경쟁사인 SKT·KT와 비교해 AI 경쟁력에서 큰 격차를 보였다.
한편, SW·IT 업종에서는 삼성SDS가 업계 1위를 차지했고, 게임 분야에서는 크래프톤이 논문 12편(인용 64회)을 등재하며 연구 역량을 증명했다. 바이오·헬스케어 업종에서는 루닛(특허 54건·피인용 57회)과 뷰노(특허 59건·피인용 80회)가 특허 경쟁력을 주도했다.
다만,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의 AI 경쟁력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수를 조사한 결과, 알파벳(구글)이 820건으로 1위를 차지한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414건), 메타(385건), 아마존(273건) 등 미국 빅테크들이 대거 상위권에 포진했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59건·12위), 네이버(25건·30위), LG(19건· 40위) 등 3개사만이 상위 5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또 논문 인용 수 기준으로는 격차가 더욱 벌어져 삼성전자(39위)와 네이버(47위)만이 세계 50위권에 포함됐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