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켄텍·KENTECH) 학습디자인연구소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글로벌인문사회융합연구지원사업(연구소지원형-국내형)'에 최종 선정됐다. 

한국에너지공과대학 (AI타임스DB)
한국에너지공과대학 (AI타임스DB)

이번 사업에는 전국 유수의 인문사회 연구소 가운데 단 두 곳만이 선정됐으며, 이공계 특성화대학으로는 켄텍이 유일하다.

학습디자인연구소는 앞으로 3년간 약 20억 원(연 6억 7000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2028년 8월까지 연구를 수행한다. 

핵심 목표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 특수학교 교실'을 개발해 교육현장에 적용하고, 이를 통해 특수교육 혁신과 정책 전환을 이끄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인지·정서·행동·사회성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또 학생의 행동을 예측하며, 교사·학부모·학교 간 소통을 강화한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을 개선하는 새로운 교육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축적되는 방대한 멀티모달(multimodal) 학습 데이터는 맞춤형 교수설계와 교육정책 모델 개발의 기반이 될 전망이다. 

나아가 기존 인공지능이 다루기 어려웠던 복합적 인간 학습 데이터를 정밀하게 학습함으로써, 인공지능의 인지·정서·행동 이해 능력을 확장시키는 성과도 기대된다.

연구에는 켄텍 윤승현·조숙경 교수, 중부대 강은영 교수, 광주과학기술원(GIST) 공득조 교수가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한다. 

이들은 교육공학, 인공지능, 특수교육, 교육정책 등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협력해 학문적 완성도와 사회적 확산 가능성을 높여나갈 예정이다.

박진호 총장직무대행은 "켄텍이 이공계 특성화대학으로서 인문사회 융합연구에 선정된 것은 연구 스펙트럼을 넓히고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는 성과"라고 햇다.

이어 "세계 최초 AI 특수학교 교실 개발을 통해 교육격차 해소와 포용적 교육혁신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경 학습디자인연구소장도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을 단순한 보조도구가 아닌, 포용적 교육과 데이터 기반 혁신을 실현하는 핵심 솔루션으로 발전시키는 시도"라고 밝혔다.

이어 "특수교육 혁신을 넘어 교육학·인공지능·정책 전반으로 확산시켜 글로벌 교육혁신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