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모델이 에이닷의 ‘검색’ 기능을 사용하는 모습. (사진=SKT)
SKT 모델이 에이닷의 ‘검색’ 기능을 사용하는 모습. (사진=SKT)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인공지능(AI) 서비스 ‘에이닷’에 자체 개발한 대형언어모델(LLM) ‘에이닷4.0(A.X 4.0)’과 오픈AI의 ‘GPT-5’ 시리즈를 탑재한다고 25일 밝혔다.

우선, 에이닷 검색 서비스에 'GPT-5' 'GPT-5 미니' 'GPT-5 나노' 모델을 탑재한다. GPT-5 시리즈는 기존 모델 대비 복잡한 과제 처리와 추론 능력이 크게 강화됐으며, 환각 발생 가능성도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에이닷 사용자들은 '클로드'와 '퍼플렉시티' '제미나이’ ‘라이너'를 포함, 모두 19종의 AI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SKT는 에이닷 4.0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 이해도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고 밝혔다. 지난 7월 공개한 벤치마크에 따르면, 한국어 능력 평가 지표인 'KMMLU'에서 78.3점을 기록해 ‘GPT-4o’(72.5점)를 능가했으며, 한국어 및 한국 문화 벤치마크인 'CLIcK'에서도 83.5점을 획득하며 GPT-4o(80.2점)보다 높은 성능을 입증한 바 있다.

또 에이닷4.0은 GPT-4o 대비 약 1.5배 효율적인 토큰 사용이 가능하며, 최대 13만1072토큰까지 한번에 처리 가능하다. 

한편, SKT는 이날 AI 전화 서비스인 ‘에이닷 전화’에 문자 보안 기능 ‘AI 메시지’를 추가해 스팸·피싱이 의심되는 문자에 사칭·사기·링크주의 라벨을 부착, 사용자에게 알려준다고 전했다.

스팸·피싱 의심 여부는 AI 모델이 에이닷 전화에 축적된 방대한 스팸·피싱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신번호 ▲문자 내용 ▲포함된 링크(URL)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 분석해 판별한다.

김용훈 SKT 에이닷사업부장은 “에이닷에 최신 AI 모델을 적용하고 문자 보안 기능을 새롭게 더해, 고객들이 최신 AI 모델을 더욱 편리하게 활용함과 동시에 AI 기술을 기반으로 안심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라며 “앞으로도 에이닷이 고객의 일상을 지키는 든든한 AI 동반자가 될 수 있도록 지속 고도화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