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 리헤인 오픈AI CGAO (사진=오픈AI)
크리스 리헤인 오픈AI CGAO (사진=오픈AI)

오픈AI는 23일 국내에서의 핵심 전략을 설명하는 ‘한국에서의 AI : OpenAI의 경제 청사진(OpenAI’s Economic Blueprint)’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한 간담회에는 크리스 리헤인 오픈AI 글로벌 대외협력 최고책임자(CGAO)가 참석했다.

보고서는 지난 10월1일 오픈AI가 삼성전자, SK,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과 발표한 일련의 협약 내용이 포함됐다. 오픈AI는 삼성 및 SK와 DRAM 웨이퍼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국내 AI 데이터센터 개발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통해 한국은 오픈AI의 '스타게이트'에 참여하게 된다.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처음 나온 국가 협력 사례라고 강조했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 사업과는 별개의 프로젝트이지만, 국내 정부와 소통을 진행 중이며 협업이나 지원 기회도 열려있다고 전했다. 

특히, 국내와의 주요 협업 논의 사항은 ‘한국형 데이터센터 인프라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반도체와 메모리 기업은 전 세계 공급망의 핵심이 될  있으며, 전자와 조선 및 크리에이터 산업 등 도메인 강점이 뚜렷하기 때문에 AI와 해당 분야들을 결합해 수출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오픈AI와 국내 기업이 협업한다면 ‘인프라-컴퓨팅-혁신-글로벌 수요-수익-국민 생산’의 성장 고리를 만들 수 있고 설명했다. 국내 스타트업에 대해서도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엔비디아도 ‘스타게이트 코리아’ 프로젝트에 기술 협업 가능성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이를 통해 국내를 ‘AI 인프라 허브’로 발전시키겠다는 것이다. 

크리스 리헤인 오픈AI CGAO는 “새로운 지능의 시대에 진입한 지금, 한국은 반도체, 디지털 인프라, 인재, 정부 지원 등 강점을 바탕으로 역사적 리더십을 발휘할 기회를 얻고 있다”라며 “이런 접근은 한국을 단순한 기술 수용국이 아닌, 글로벌 표준을 제시하고 신뢰받는 확장형 AI 시스템 제공자로 자리매김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