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미국 정부가 미국 내 목표를 겨냥한 중국 군사 작전에 알리바바가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오픈 소스 인공지능(AI) 최강자로 떠오른 알리바바를 견제하려는 의도인지 주목된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14일(현지시간) 백악관의 국가안보 문서를 인용, 알리바바가 미군과 미국 내 주요 인프라를 겨냥한 중국 군사 작전에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고 보도했다.

일부 공개된 '최고 기밀’ 등급의 정보에 포함된 이 문서에는 알리바바가 중국 인민해방군(PLA)에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서비스와 고객 데이터 접근 권한을 제공했다고 지적돼 있다. 여기에는 IP 주소, 와이파이 정보, 결제 기록 등 민감 데이터와 ‘제로데이’ 취약점 지식 전수 사례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

백악관은 이번 내용에 대한 사실 여부를 밝히지 않았다. 알리바바는 “유출된 정보에 근거한 주장들은 완전히 터무니없는 이야기”라며 강력히 부인했다.

대신, 미국에서는 중국 클라우드 서비스와 AI 기술, 민감 데이터 접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됐다. 알리바바는 미국 의회와 정부 관계자들이 PLA와의 연계 가능성을 문제 삼아왔던 곳 중 하나다.

이는 미국도 마찬가지다. 전 세계 군대가 무기 시스템과 클라우드 기반 기술 의존도를 높이는 가운데, 미 국방부는 2022년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기업에 클라우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메모는 PLA가 미국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목표를 겨냥했는지는 밝히지 않았으나, 미국 국가정보국(DNI)은 앞서 중국이 미국 인프라를 침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고 평가한 바 있다.

존 물레나 미 하원 중국위원회 위원장은 “중국 기업은 중국 법률에 따라 고객 보호 장치가 적용되지 않는다”라며 “연방 정부와 산업계가 미국인 보호를 위해 중국 기업의 시장 접근을 제한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지난 5월 미국 일부 의원들은 알리바바를 포함한 25개 중국 기업을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상장폐지 요구 대상으로 지목하며, ‘군민 융합’ 프로그램을 근거로 PLA와 기술 공유 의무를 문제 삼았다.

중국 정부는 이번 내용에 대해 “사실을 완전히 왜곡한 것”이라며 반박했다. 중국 대사관은 “중국 정부는 법에 따라 개인정보와 데이터 보안을 보호하고 있으며, 해외 데이터를 불법적으로 수집하거나 제공하도록 기업에 요구한 적이 없다”라고 밝혔다.

한편, 알리바바는 대표 모델 '큐원'을 내세워 올해 들어 세계 최고의 오픈 소스 기업으로 성장했다. 미국은 메타의 부진으로 오픈 소스에서 중국에 완전히 밀리는 양상이다.

이 때문에 최근 미국의 보수 성향 싱크탱크인 안보정책센터(Center for Security Policy)는 중국이 오픈 소스 AI 기술로 전 세계를 장악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또 미국 정부는 지난 1월 중국 대표 AI 스타트업인 지푸 AI가 중국군과의 연계했다며, 블랙리스트에 올린 바 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