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앤트로픽이 중국 자본이 지배적인 기업에게도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전격 중단했다. 미국 AI 기업이 중국 기업을 특정해 판매 제한 정책을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미·중 간 기술 패권 경쟁과 안보 우려가 직접적인 배경으로 꼽힌다.

앤트로픽은 4일(현지시간) 중국 정부와 군, 정보기관 등의 기술 활용을 제한하기 위해 중국 자본이 지배적인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 판매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바이트댄스, 텐센트, 알리바바 등 중국 빅테크는 물론, 러시아와 이란, 북한 등 적대국의 서비스 접근이 제한된다.

직접 고객뿐 아니라 클라우드 경유 사용자도 적용 대상이 된다. 앤트로픽은 이번 조치로 인한 글로벌 매출 손실이 수백만달러에 불과할 것으로 내다봤다.

앤트로픽 관계자는 “중국 기업들이 우회 경로를 통해 최첨단 AI에 접근할 수 있는 허점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라며 “미국의 민주적 가치와 AI 리더십을 지키기 위한 더 큰 약속의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번 정책 변화는 중국 기업들이 싱가포르 등 해외 자회사를 통해 미국 기술에 접근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미국에서는 중국이 AI를 극초음속 무기 개발이나 핵무기 모델 등 군사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늘어나고 있다.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올해 초에도 중국에 대한 수출 통제 강화를 주장한 바 있다. 오픈AI 역시 미국의 AI 주도권 보호를 위한 규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물론, 중국에서도 공식적으로 '챗GPT'나 '클로드' 등 미국 모델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앤트로픽의 코딩 능력은 중국에서도 인기로, 일부 사용자는 VPN을 통해 우회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