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에서 우주를 정밀하게 볼 수 있는 망원경 성능 시험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를 위한 장비 개발이 모두 완료됐다.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영득)이 망원경으로 우주 적외선을 관측할 때 필요한 핵심요소인 '극저온 진공챔버'를 내놨다고 17일 밝혔다.
해당 장비는 미 '항공우주연구원(NASA) 스피어엑스(SPHEREx)' 우주망원경 성능 시험에 활용된다. 천문연은 SPHEREx 프로젝트에서 유일한 국제 협력 기관이기도 하다.
이번에 천문연이 개발한 장비는 SHPEREx 망원경 성능을 지상에서 정밀하게 시험할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 천문연이 2019년 8월 개발에 착수해 약 3년 만에 완성했다. 지난 6월 미국으로 이송해 설치했다.
극저온 진공챔버는 망원경이 우주에서 냉각돼 도달할 영하 220도 이하 극저온 진공상태를 구현한다. 우주에서 적외선을 관측하려면 외부 온도보다 한층 저온으로 냉각되는 망원경이 필요해서다.
해당 장비를 SPHEREx 망원경에 적용해 촬영하는 사진 속에서 초점이 고르게 맞춰지는지 검증할 수 있다. 또 사진 각 부분에서 어떤 파장(색깔)이 보이는지도 측정 가능하다.
특히 해당 측정 과정에 필요한 건 보조장비다. 천문연은 SPHEREx 망원경 정밀 로딩 장비도 함께 개발했다. 극저온에서 파장과 초점을 측정할 적외선 빛을 평평하게 만들어주는 장치 등 보조 광학 장비들도 만들었다.
SPHEREx
SPHEREx는 ‘전천 적외선 영상분광 탐사를 위한 우주망원경’이다. 지상에서는 관측이 불가한 적외선을 볼 수 있다. 영상분광 기술로 하늘을 총 102개에 달하는 색으로 촬영할 수 있다. 영상분광 기술이란 넓은 영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영상관측(Imaging)’과 개별 천체 파장에 따른 밝기 변화를 측정하는 ‘분광관측(Spectrosoopy)’이 통합된 기술이다.
해당 망원경 기술 개발은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Caltech)가 주관한다. 한국천문연구원,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등 12개 기관이 함께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천문연은 2016년 기획 단계부터 참여했다. SPHEREx 프로젝트에서 유일한 국제 협력 기관이다.
망원경은 2025년 4월에 발사돼 약 2년 6개월 동안 0.75~5.0μm 파장 범위에서 낮은 분광 분해능력으로 전천 탐사를 수행할 계획이다. 참여기관은 천제에 대한 개별적인 분광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 기사]오리온 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 사라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