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홍수나 화재 등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강화한다. 디지털 트윈 기반으로 홍수 피해를 예측하거나 비전 기술로 화재를 탐지해 대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가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자연재난에 대비하는 AI 체계를 강화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환경부와 협업해 추진한다.
갑작스런 홍수는 디지털 트윈 기반으로 미리 예측해 피해를 최소화한다. AI로 방류나 대피 등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대비체제를 5대강(한강·낙동강·금강·섬진강·영산강) 중심으로 시작한다. 기술이 고도화되면 전국에 적용할 예정이다. 특히 ‘하천 범람 사전대응’이나 ‘조기경보체계’를 시스템을 구축해 확대한다.
기습적인 폭우로 인한 도시 침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시침수 사전 예측체계’도 만든다. 이를 통해 주민 사전 대피를 더 빨리할 수 있다. 건물 내 침수 보호 시스템도 실증한다. '지능형 IoT 기반 차수 장치' 등을 활용한다.
과기정통부는 산불 초기단계를 감지하는 영상 AI도 개발할 방침이다. 강원 지역이 보유한 산불 관련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개발이 완료되면 실증까지 해 산불감시 지능형 상시모니터링 시스템 활용을 전국적으로 확대한다.
이 외에도 정부는 시민 안전관리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 일터나 생활에서도 디지털 혁신 기술을 융합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안전 사각지대를 최소화해 시민 안전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 기사]바이든, 기후 문제 해소를 위한 법안에 서명
[관련 기사]인공지능 축제, AI대학원 심포지엄 열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