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샤오미 로봇 사이버원이 넘어질 경우 혼자 일어설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 : 샤오미 사이버원 홍보 영상 캡처)
보샤오미 로봇 사이버원이 넘어질 경우 혼자 일어설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 : 샤오미 사이버원 홍보 영상 캡처)

중국 샤오미의 로봇 사이버원(CyberOne)이 넘어지면 혼자 일어서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 매체 더버지는 19일 샤오미의 로봇 사이버원 관련 영상에서 로봇이 넘어지는 영상이 반복적으로 나오지만 일어서는 장면이 없다며 이는 혼자 일어서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샤오미의 로봇 관련 홍보 영상은 넘어져도 굴하지 않고 목표 지점에 로봇이 도달한다는 의미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지만 쓰러지는 장면이 여러 번 나오는 가운데 혼자 일어서는 장면은 없다.

매체는 사이버원을 테슬라가 내달 말 공개할 휴머노이드 옵티머스원과 비교하면서 일론 머스크 CEO가 온갖 잡일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테슬라의 제품 역시 기대만큼의 기능을 보여주지 못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일론 머스크는 최근 쓴 칼럼에서 사람과 마찬가지로 두 발로 걷고 손가락이 10개인 로봇을 만든 것은 사람과 비슷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사이버원은 손이 있기는 하지만 손가락이 10개가 아니라 벙어리 장갑 수준인 2개로, 오므리고 펼 수 있다.

사이버원은 지난 주 처음 공개된 모습처럼 무대로 걸어가는 것 이상으로 좀 더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로봇 전문 기업이 아닌 샤오미의 수준을 보여준다고 더버지는 평했다. 샤오미에 따르면 사이버원은 무게는 52kg, 높이 177cm로 이동 속도는 사람 걸음보다 약간 느린 3.6km/h이다.

샤오미는 사이버원이 최대 8m 거리에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머신 비전 시스템을 갖춰 사람의 감정을 ‘인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감성 인식 AI'란 본질적으로 비과학적이라고 지적한다.

샤오미 로봇 사이버원이 넘어질 경우 혼자 일어설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 : 샤오미 사이버원 홍보 영상 캡처)
샤오미 로봇 사이버원이 넘어질 경우 혼자 일어설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 : 샤오미 사이버원 홍보 영상 캡처)

더버지는 사이버원이 멋지게 보이기는 하지만 이동성 측면에선 보스톤 다이나믹스의 두발로 걷는 로봇이 더 낫고 감지 및 처리 측면에서도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는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일론 머스크는 휴머노이드가 ‘상점에 가서 물품을 가져다 줘’와 같이 사람의 복잡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최근에는 옵티머스가 “사람 대신 반복적이고 지루하며 위험한 작업을 할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더버지는 하지만 테슬라는 ‘범용’ 로봇을 곧바로 판매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테슬라가 내달 공개할 휴머노이드 시제품 로봇도 사이버원처럼 미리 준비된 각본대로 걸으면서 대화하고, 보다 나은 손 움직임 또는 들어 올리는 기능을 보여줄 수 있겠지만 바로 상점에서 식료품을 사오지는 못할 것이라고 더버지는 예측했다. 따라서 머스크가 로봇에게 실제로 기대할 수 있는 것들을 정직하게 밝혀야 한다고 더버지는 지적했다.

AI타임스 이한선 객원 기자 griffin12@gmail.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