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hutterstock).
(사진=Shutterstock).

중국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기업 틱톡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법적 대응 카드를 꺼내 들었다. 미 행정부가 틱톡을 미국 시장에서 퇴출하려는 조치를 내린 데 따른 대응 조치다.

로이터통신과 BBC 등 외신은 틱톡의 모기업 바이트댄스가 이르면 24일 미국 정부의 행정명령에 대해 법적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라고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틱톡 매각 협상에서 바이트댄스가 불리한 조건으로 틱톡을 매각하지 않으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틱톡 측은 트럼프 행정부와 일 년 가까이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진전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 행정부가 적법한 절차를 따르지 않고 사실 관계에도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틱톡 대변인은 “법치주의 아래 틱톡과 틱톡 사용자들이 공정하게 대우를 받으려면 사법제도를 통해 행정명령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는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에 미국의 국가안보‧외교정책‧경제 위협 등의 이유로 45일 후인 9월 중순부터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와의 거래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미 행정부는 해당 기업이 미국 사용자 정보를 중국 정부로 빼돌릴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틱톡 측은 이 같은 의혹에 대해 강하게 부정하면서 미 정부의 주장을 일축했다. 미국 내 틱톡 사용자 수는 약 800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또 미 정부는 지난 14일 안보 위협 등의 이유로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에 90일 내에 틱톡의 미국 사업부문 자산을 모두 매각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이에 바이트댄스는 현재 잠재적 인수자인 마이크로소프트(MS), 오라클 등과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백악관 측은 이번 바이트댄스의 소송 제기와 관련해 즉각적인 공식 입장은 내놓지 않았다고 외신은 전했다.

한편, 틱톡 외에 트럼프 대통령은 유사한 행정명령을 통해 중국 텐센트가 모기업인 채팅 애플리케이션 위챗도 미국 시장에서 퇴출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쳐왔다. 이 같은 미 정부의 행정명령에 대해 최근 위챗 사용자들이 집단 소송에 나서기도 했다.

 

[관련기사] 중국 때리는 트럼프 뒷배는 외국인투자위원회(CFIUS)?

[관련기사] 中, 인도의 중국 앱 금지는 WTO 규칙 위반 주장

[관련기사] 인도, '틱톡' 등 중국 앱 59종 금지 선언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