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호 경인교육대학교 교수와 이승훈 장명초등학교 장일분교?선생님은네이버 엔트리가 8개 AI 교육 플랫폼 가운데 가장 적합한 플랫폼이라고 한국정보교육학회의 추계학술대회에서 29일 발표했다. [사진=네이버]
이재호 경인교육대학교 교수와 이승훈 장명초등학교 장일분교 선생님은네이버 엔트리가 8개 AI 교육 플랫폼 가운데 가장 적합한 플랫폼이라고 한국정보교육학회의 추계학술대회에서 29일 발표했다. [사진=네이버]

국내 교육 전문가 집단이 네이버 커넥트재단 SW교육 플랫폼 ‘엔트리’가 초등 AI교육 플랫폼으로 가장 적합하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재호 경인교육대학교 교수와 이승훈 장명초등학교 장일분교 교사는 29일 열린 한국정보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직접 저술한 논문 ‘초등 AI 교육 플랫폼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 연구’를 발표했다.

두 저자는 5가지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AI 교육 플랫폼 8개 ▲우리나라의 엔트리ㆍ지니블록ㆍ엘리스 ▲영국의 머신러닝 포 키즈(Machine Learning for Kids) ▲미국의 티처블 머신(Teachable Machine) ㆍ 에이아이 오션(AI Oceans) ㆍ 앱 인벤터(App Inventor) ▲중국의 엠블락(Mblock) 등을 비교 분석했다.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구성한 평가 항목은 각각 ▲교수ㆍ학습 관리 ▲교육용 콘텐츠 ▲접근성 ▲AI 교육 플랫폼 성능 ▲나이별 수준 적합도다. ‘엔트리’는 모든 기준에서 평균 이상 점수를 받았고 그 중에서 AI 교육 플랫폼 성능 부문이 2위, 나머지 4개 기준에서 1위를 기록했다.

이완민 네이버 매니저는 “두 저자가 교육관련 전문가 103명에게 받은 의견을 정량화해 내놓은 결과”라고 말했다.

조규찬 네이버 커넥트재단 이사장은 “재단과 네이버가 함께 만들고 축적해온 양질의 콘텐츠들과 꾸준히 기능을 고도화해 온 ‘엔트리’가 학계 연구결과를 통해 긍정적으로 평가받은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네이버-연세대학교, AI 인재 발굴 위한 협력 제휴

[관련기사] 네이버 커넥트재단, AI 개발자 양성 ‘부스트캠프 AI Tech’ 연다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