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이 5세대(5G) 이동통신의 품질을 높일 목표로 국제 표준을 적용한 5G 인프라 기술을 개발했다.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삼성전자와 함께 이동통신 핵심 인프라인 차세대 '클라우드 코어망(Core Network)'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클라우드 코어망은 모바일 기기 데이터 트래픽의 인터넷 연결을 위해 단말 인증, 고객 서비스, QoS 관리 등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핵심 인프라다.
SKT는 이번에 개발한 차세대 코어망의 경우 국제 표준 Rel.16을 충족하는 세계 최초 사례라고 설명했다.
Rel.16은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 협력 기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제정한 5세대(5G) 이동통신 2차 표준이다. 1차 표준인 Rel.15과 비교해 자율주행과 스마트 공장 등 5G 비즈니스 모델의 진화를 포함한 표준이다.
이번에 개발한 차세대 클라우드 코어망은 SKT와 삼성전자가 2년간 협업해 개발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native) 방식을 바탕으로 SCP 기술을 적용, 5G의 초저지연ㆍ초고속ㆍ초연결 서비스를 품질 저하없이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앱을 기능 모듈 단위로 나누고 '상태 비저장' 방식으로 동작하는 코어망이다. SCP는 앱 모듈간 트래픽을 연결하고 관리하는 차세대 표준 핵심 기술이다.
SKT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이 앱 기능을 모듈 단위로 배포ㆍ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5G 상품 개발과 출시 속도가 빨라지고 안정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SKT의 SCP 기술인 'T-Mesh'의 경우 통신 속도를 30% 향상시키고 일시적인 트래픽 집중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자원을 할당해 안정적 트래픽을 유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SKT는 차세대 클라우드 코어망 개발로 이용자가 빠른 속도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업의 경우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개발ㆍ제공할 수 있어 향후 5G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SKT는 올해 초 삼성전자와 5G 고도화 및 6세대(6G) 이동통신 진화 기술 공동 연구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에 5G 관련 ▲네트워크 기술 ▲혁신적인 단말ㆍ소프트웨어(SW) ▲스마트 솔루션 공동 개발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박종관 SKT 5GX기술그룹장은 "이번에 개발한 SCP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코어망은 5G 관련 상품과 서비스 확산을 앞당겨 고객의 효용을 높일 것이다"라며 "향후 삼성전자와 긴밀한 협력을 구축해 다양한 차세대 네트워크 혁신 기술을 지속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