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진 한양대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AceLab) 박사가 17일 오후 자율주행 체험행사 중 자율주행차 A1 차량 운전자석에서 보조운전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성진 에이스랩 박사가 A1 내부 스크린 조작법과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영상=문재호 기자) 
조성진 한양대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AceLab) 박사가 17일 오후 자율주행 체험행사 중 자율주행차 A1 차량 운전자석에서 보조운전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성진 에이스랩 박사가 A1 내부 스크린 조작법과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영상=문재호 기자) 

LG유플러스ᆞ한양대는 17일 오후 자율주행 체험행사를 실시했다.

LG유플러스, 한양대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ACELAB), 자율주행 솔루션업체 ‘컨트롤웍스’가 공동으로 개발한 자율주행ᆞ자율주차 기술을 시연한 것.

LG유플러스 본사 앞에서 조성진 에이스랩 박사가 자율주행차 ‘에이원(A1)’을 정해진 자율주행 운전 실증 구간 출발지까지 직접 운전해서 이동했다. 조 박사가 휴대폰 앱에서 상암동 제1공영주차장 빈 주차공간을 목적지로 설정하자 A1는 스스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목적지까지 약 800m가량 구간을 5분간 스스로 달렸다.

주차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횡단보도 5개와 교차로 3개를 맞닥뜨렸다. A1은 ‘신호등과 통신(5G-V2X)’으로 소통해 매 순간 주행을 지속할지 제동을 시작할 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했다. 작년 자율주행차 시범주행 당시에는 카메라로 신호등 색상을 판단해 주행 여부를 판단했는데, 당시보다 한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셈이다. 자율주행차에 탑재된 카메라가 비와 눈 같은 궂은 날씨나 시간에 따른 빛의 양 변화로 신호를 잘못 인식해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사라진 것이다.

(영상=컨트롤웍스)

A1차 지붕 위에는 라이더가 탑재되어 주변 차량 정보를 인식ᆞ수집해 내부 모니터 스크린에 입체적으로 표현했다. 레이더와 카메라도 A1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자율주행 체험 행사 중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 있었던 부분이 아쉽게 느껴졌다. 앞에 보조 운전자가 있기도 했고 자율주행 구간이 800m 정도로 긴 시간 주행이 아니었던 터라 완전자율주행 기술 개발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A1은 대형 SUV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GV80 기종을 기반으로 자율주행을 구현했다. A1이 자율주행을 마치고 마지막으로 자율주차를 할 당시 오른편 주차공간에는 차량이 2~3m가량 떨어진 채 주차되어 있었으며 왼편에는 기둥이 있기도 했으나 차선에 맞게 후진 주차를 성공했다.

내년에는 보조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 행사가 열릴 수 있기를 희망한다.

 

AI타임스 문재호 기자 jhmoon@aitimes.com

[관련기사] LG유플러스ᆞ한양대ᆞ컨트롤웍스, 5G 자율주차 공개 시연

[관련기사] 인텔 '모빌아이', 독일에서 '성능 뽐낸' 1시간 자율주행 시험 비디오 공개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