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2000억원 국비가 들어가는 정부 6G 연구개발 사업이 닻을 올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7일 '6G 핵심기술개발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6G 핵심기술개발사업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간 진행되며 총 1917억원을 투자한다. 이 중 국비는 총 1438억원이며 올해 들어가는 사업비는 164억원이다.
해당 사업이 2000억 규모 사업비를 확보한 것은 작년이다. 2020년 4월 6G 핵심기술개발사업에 대해 5년간(2021년~2025년) 총 2000억원 규모 예비타당성 조사가 최종 통과됐다. 이후 8월 열린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확정했다. 사업공고는 12월 18일부터 시작했다.
과기정통부는 6G 개발사업을 통해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과 같이 민간에서 적극 투자하기 어려운 도전적이고 선도적인 기술 개발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초성능, 초대역, 초공간, 초정밀, 초지능 5대 중점분야에 따른 9대 전략기술을 중심으로 확보한다.
분야별 투자액은 초성능‧초대역 분야 108억원, 초공간 분야 23억원, 초정밀‧초지능 분야 33억원이며, 각 분야에 속한 총 11개 세부과제에 164억원을 투입한다. 초신뢰 분야인 ‘6G 보안 내재화 전략기술’에 대해서는 ‘정보보호핵심원천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지원할 예정이다.
직접적인 6G 기술개발 이외에 표준특허 획득, 전문인재양성 등에도 힘쓴다. 과기정통부는 특허청과 협력해 '표준특허 전략맵'을 구축한다. 표준특허 확보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집중 발굴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바탕으로 IP-R&D 방식을 적용해 기업‧기관에 R&D 자금과 표준특허 확보전략을 패키지로 지원할 계획이다.
6G 기초연구 강화와 전문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대학 중심 6G 연구센터를 선정, 최대 5년간 지원한다. 산·학·연 전문가 역량 결집을 위해서는 오는 3월 민관 참여 '6G R&D 전략위원회'를 구성한다.
현장 전문가 목소리를 듣고 사업 전반에 대한 목표와 추진현황, 성과를 공유하고 검증하는 것이 취지다. 국제 표준화 동향, 시장 요구사항 등을 고려해 필요시 투자대상 핵심기술도 조정해 나갈 계획이다.
기술개발 완료 시점인 2026년부터는 5G+ 5대 서비스인 ▲스마트시티, ▲스마트공장, ▲디지털 헬스케어, ▲실감콘텐츠, ▲자율주행차에 상용화 전 단계인 Pre-6G 기술을 적용하는 6G-Upgrade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 취지에 대해 과기정통부는 “이동통신 시장에 대한 세계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한발 앞선 기술개발과 표준 선점이 필수”라며 “최근 미국・중국・유럽 등 세계 주요국들은 5G 다음 세대 기술인 6G 선점 경쟁에 돌입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코로나 상황을 계기로 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있어 우리나라의 뛰어난 ICT 인프라 경쟁력을 보다 고도화해 경제 반등의 모멘텀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6G 핵심기술개발사업 공고는 2020년 12월 18일부터 2021년 2월 1일까지 진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AI타임스 박성은 기자 sage@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