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내 농업 생태계가 2021년부터 ICT 기술로 새로워질 전망이다. 현재 전남도는 농업에 신기술을 접목해 해마다 줄어드는 청년인구와 고령화를 해결하는 대안책으로 구축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그 첫 번째 사업이 ‘스마트팜 혁신밸리’다. 도는 고흥군 일원에 33헥타르 규모의 첨단기술 농업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오는 2022년 완공을 앞두고 있는 혁신밸리에는 청년농업인 단지를 비롯해 ICT 농업실증단지, 주민참여단지, 지원센터 등이 들어선다. 전남도는 지난해부터 이곳에 정착할 청년 농업인 52명을 선발·육성해 교육하고 있다. 앞으로 2022년 완공 전까지 156명의 청년농업인을 키우겠다는 목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구축은 농업기술원과도 연관이 있다. 기술원 내 원예연구소에서는 ICT 관제실을 설치해 90여개 스마트팜 농가를 실시간 모니터링 한다. 지리적으로 멀리 위치한 농가의 작물 데이터도 한눈에 파악해 문제점을 알리고 개선할 수 있다.
또 스마트팜 연구동도 빼놓을 수 없다.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로 자급자족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이곳은 국내에서 처음 시도하는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팜 모델단지다. 멜론, 파프리카, 토마토 등 과일채소를 기존 농법과 달리 저전력으로 재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오는 2022년까지 전남도 내 약 100개 스마트팜 설치를 목표하고 있는 기술원은 이를 위해 올 한해 동안 스마트팜 전면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기술원의 스마트팜은 시범운영 기간 동안 추가로 필요한 센서나 장비를 확장해 설치할 수 있어 지역민이 부담 없이 시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전남도의 스마트팜 구축을 위한 다양한 연구는 도내 스마트팜 증가라는 결실을 맺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지난해 전남도 스마트팜 농가는 총 241농가로, 규모는 143헥타르다. 이는 2014년 처음 스마트팜 지원사업이 시작된 해 10헥타르보다 14배 증가한 수치다.
김희열 농업기술원 농촌지원과장은 “농경지가 가장 많은 전남도야말로 AI 시대에 맞춰 스마트농업을 연구·보급할 수 있는 최적지”라며 “2021년에도 지역 농업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기술을 꾸준히 확산하겠다”고 말했다.
또 소영호 농축산식품국장은 “인구감소에 따른 농촌소멸과 기후변화로 전남 농업이 위기 속에 있다”며 “이를 탈피할 스마트팜 보급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쳐 소득이 있는 전남 농업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AI타임스 박혜섭 기자 phs@aitimes.com
[관련기사] 전남농업기술원, 빅데이터 기반 작황 분석 결과 발표
[관련기사] 전남농업기술원, 농업 빅데이터 전문가 15명 양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