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기계가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건설장비 고장진단 기술을 선보였다.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개발한 이 기술은 장비 고장 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조치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다운타임(기계나 시스템의 고장으로 운용될 수 없는 시간)으로 인한 피해 예방이 가능하다.
현대건설기계는 17일 온라인으로 'AI 스마트 건설장비 기술개발 성과발표회'를 개최하고 AI와 IoT를 결합한 'AIoT 모듈'을 AWS와 함께 개발했다고 밝혔다.
AIoT 모듈은 굴착기 등 건설장비에 장착돼 장비 고장 여부를 파악하고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장비의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기계학습(ML)을 통해 장비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고장진단은 엣지(Edge)와 클라우드를 활용해 이뤄진다. 엣지에서는 통신 연결 여부와 관계없이 고장 여부를 장비 자체에서 추론해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상태를 클라우드로 보내 결괏값을 받는 것과 비교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단 엣지는 성능과 데이터가 무한할 수 없어 클라우드에서 고장 여부를 학습해 엣지로 배포하는 과정이 병행된다.
이번 기술은 현대건설기계가 AWS와 지난해 1월부터 AI 기반 스마트 건설장비를 개발하며 이뤄낸 성과다. 한국조선해양과 연세대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AI 이상감지 알고리즘을 적용해 AI 고장진단 1단계 기술을 구현했다.
건설 현장에서 장비의 다운타임은 필수 경계요소다. 장비 하나가 멈추면 작업이 진행되지 않아 시간과 비용 등에 막대한 손실을 가져올 수 있어서다.
다운타임을 해소하고자 과거에는 소리, 주파수 등을 탐지해 사전에 파악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 방법은 사람이 일일이 장비를 체크해야 해 시간과 인력 소모가 컸다. 현대건설기계가 AWS와 함께 선보인 AIoT 모듈은 건설장비에 장착돼 고장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알려줘 비용과 시간을 아낄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판영 현대건설기계 상무는 "AIoT 모듈은 IoT에서 진보된 형태로 AI가 결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AI 기반 사전서비스로 업타임(기계 가동시간)을 최대화하겠다"면서 "미래에는 장비 자체가 아닌 장비 업타임을 판매하는 사업모델로 진화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계현 현대건설기계 책임은 "AIoT 모듈은 2023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모듈을 양산화하고 더 많은 데이터를 모으면 해당 기술의 정확도는 점점 고도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AI타임스 김동원 기자 goodtuna@aitimes.com
- "반도체 공장 5단계 완전 자동화, AI와 디지털트윈에 달렸다"...현재는 3~4단계 수준
- "열렸다! 스마트 물류 시대"...AI와 무인로봇 등 첨단 기술 본격 도입
- 삼성SDS, AI 기반 컨택센터 솔루션 'AICC' 사업 강화
-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전극 절단 공정에 AI 기술 적용...커터 수명 분석에 활용
- 자동화 넘어 자율성 이끄는 AI 엣지, 도입 시 고려할 사항은?
- [제조AI2021] 예지보전AI ① 다운타임 막는 공장 예방정비, 투자수익 고려해 똑똑하게 구축하자
- 중기부, 'AI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1년간 4억원 지원
- 인공지능이 사물인터넷을 만나.. 더욱 강력해진 AIo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