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는 양자정보통신 관련 기관 15곳을 선정했다. '양자암호통신 기반(인프라) 시범 구축'을 통해 양자 산업 생태계 활성화할 예정이다.

(사진편집=임채린 기자)
(사진편집=임채린 기자)

25일 열린 2021년 양자암호통신 착수보고회에서는 향후 공공분야 보안성 점검 방안, 민간분야 양자암호통신 시범망 확산 방안 등 양자암호통신 사업 추진계획과 한미 양국간 양자암호통신 교류 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과기정통부 조경식 제 2차관이 주재한 이번 회의에는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통신3사 등 사업참여기관, 수요기관, 통신사업자, 장비제조사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

정부는 양자암호통신 시범사업 관련해서 양자암호통신과 양자난수발생기, 양자내성암호 등 양자 관련 기술을 민간·공공 기관을 통해 실증적인 시장 활성화를 하기 위해 응용서비스 발굴 등 목적으로 총 290억원을 투자했다. 

작년 시범사업으로 150억원을 투자해 해군3함대, 전남도청 군·관 협력용 비화통신서비스, 실손 보험처리 위한 환자의료정보 전달 서비스를 연세의료원에서 하는 등 16개 분야에 적용했다. 그 결과 올해 48개의 정부부처를 연결하는 '차세대 국가융합망' 행정안전부 사업에 양자암호통신을 적용하는 성과를 냈다.

올해에는 본 사업을 통해 140억원을 투입해 핵심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시장 창출과 확산 노력을 병행하면서 추진계획을 점검하는 등 양자암호통신 개발에 본격 돌입한다. 공공기관 행정‧시설보안(대전시청, 대전상수도본부, 정수사업소), 의료기관 간 원격협진(순천향대병원 서울‧부천) 등 다음과 같이 15개 수요기관에 19개 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이다. 

2021년 양자암호통신 시범구축 사업 표 (디지털뉴딜사업 관련)
분야 수행기관 수요기관 응용서비스
공공분야 SKB 대전상수도사업본부
(송촌사업소, 대전광역시)
인공지능 실시간 얼굴인식 통제
범용직렬버스(USB) 보안토큰
광주보건환경연구원(북구보건소) 양자(Quatum)-스마트폰
한국수력원자력발전소(새울-고리)  
KT 강원도청(2군단사령부) 양자(Quatum)-액화수소드론
제주도청(교통안전체험관) 양자(Quatum)-자율주행차
LGU+ 충남도청(공무원교육원) 데이터베이스(DB) 암호화 및 IC카드
민간분야 SKB 대구계명대병원(성서-중구) 자율주행 로봇(지정맥인증)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빌딩 관리 시스템
ADT 캡스(보라매, 장안, 삼성) 무인센서 보안시스템
보안 출입ID카드
USB 보안토큰
고려대병원(안암-K-Bio) 클라우드 병원시스템
평화홀딩스 수소차 설계도 PDF 암호화
KT 순천향대병원(서울-부천) 양자(Quatum)-원격의료협진
현대로보틱스 양자(Quatum)-사물인터넷(IoT) 로봇관제
블록체인컴퍼니 양자(Quatum)-비트코인거래
LGU+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유심(USIM)
GS EPS 안면인식 출입보안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시범사업을 통해 활용되는 양자암호통신 장비들의 성능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보안성 검증을 지원한다. 향후 다양한 수요기관이 양자암호통신을 손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공공·의료·산업분야에서 그간 실증사례를 정리한 '양자암호통신 시범기반(인프라) 구축·운영 종합 지침서'를 발간해 초기 시장을 형성할 계획이다.

특히, 양자암호통신 보안 실증 사례집은 향후 양자암호통신 기반 새로운 보안서비스를 도입하려는 다수 기관과 기업들에게 배포해 양자암호통신 시장 확대와 관련 기업 시장을 확산한다.

조경식 과기정통부 2차관은 "양자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을 적극 추진하면서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시범 사례들도 적극 도출해 실험실뿐만 아니라 산업계로도 확산되는 등 생태계 조성이 가능하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 이라고 밝혔다.

한편, 양자컴퓨터 공격에도 안전할 암호 알고리즘을 구축할 양자내성암호 개발에도 정부가 나선다.

국가보안기술연구소와 국가정보원은 향후 4년 동안 국내 양자내성암호와 관련한 기술 저변을 확대하고 경쟁력을 제고해 세계 수준의 양자내성암호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고, ‘KpqC 연구단(양자내성암호연구단)’을 발족했다. 연구단은 지난 21일 1차 워크숍을 개최하고, 로드맵에 따른 연구단 운영계획 등을 토의했다.

AI타임스 이하나 기자 22hnxa@aitimes.com

[관련기사] 고객센터에 AI 접목한 SKT·KT, '한국의 우수콜센터' 선정

[관련기사] AI 에듀테크 기업 뤼이드, 2000억원 규모 투자 유치 성공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