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대표 구현모)가 AI 원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KAIST, 한양대와 함께 '초거대 AI 모델'을 만들기 위한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초거대 AI는 대용량의 연산이 가능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해 사람처럼 스스로 사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인공지능을 의미한다.
각 기관은 자연어 처리 분야의 대표 연구진들로 이번 프로젝트를 구성, KT의 오랜 사업 경험과 풍부한 데이터를 활용한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오늘 온라인으로 진행된 공동협약식에는 KAIST 김기응, 서민준 교수와 한양대 백은옥, 노영균 교수, ETRI의 임준호 박사, 민옥기 본부장이 참석했다.
AI 원팀은 초거대 AI 모델을 확보해 대한민국의 AI 경쟁력 확보한다를 핵심 의제로 설정, 약 6개월 넘은 실무 논의로 협력을 지속해 왔다. 이번 협약 체결로 기관별 역할을 정의하고 프로젝트 수행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여기서 다른 참여기관들과 함께 KT는 대규모 GPU 인프라 구축, 데이터 수집/분석, 모델 학습, 응용태스크 적용 등과 같은 R&D와 상용화 관련 업무를 총괄 수행한다.
KAIST는 머신러닝 알고리즘 최적화와 어플리케이션을 맡는다. 한양대는 데이터 정제/필터링 알고리즘 개발, 분산/병렬 알고리즘과 모델 최적화 분야를 담당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한국어 AI기술인 엑소브레인 원천기술을 초거대 언어모델 프로젝트에 적용함으로써 대형 모델학습 및 모델개발 분야에 참여한다.
AI 원팀은 올해 말까지 초거대 AI 학습을 1차로 완료하고, 내년 상반기 안에 초거대 AI모델을 상용화시킬 계획이다. 또한, 대규모 AI 연산 인프라를 구축해 향후에는 2000억 파라미터(매개변수) 이상의 모델까지 연산이 가능하도록 규모를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AI 원팀 연구진은 AI 편향성을 제거하기 위해 학습데이터 필터링, 데이터 간 불균형 조정 등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유해 콘텐츠(Toxic Content) 필터링 기술 등 다양한 딥러닝 기반 탐지 기술도 적극 활용해 AI 윤리 이슈를 사전에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이번에 개발하는 초거대 언어모델은 즉시 상용화가 가능한 '과제 지향적(Task-Oriented)' 형태로 설계된다.
이에 초거대 언어모델을 통해 향상된 STT(음성인식), TTS(음성합성), TA(텍스트 분석), 대화 등이 먼저 KT에서 기가지니와 AICC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활용되며, 이번 연구로 향후 국내외 많은 기업, 학교, 연구기관들이 AI 원팀의 초거대 모델을 활용해 한국어 언어지능에 대한 손쉽게 접근하고, 이를 제조, 금융, 물류, 유통 등 다양한 산업분야를 지원할 계획이다.
향후 AI 원팀은 영상/로봇 등의 복합인지, 이미지 기반 해석, 휴머니스틱 AI(인간중심 AI) 등 영역에서도 초거대 AI 모델을 확장해 갈 예정이다.
지난해 2월 출범한 AI 원팀(AI One Team)은 KT를 포함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카이스트 ▲한양대 ▲현대중공업그룹 ▲LG전자 ▲LGU+ ▲한국투자증권 ▲동원그룹 ▲우리은행 등 총 10개 산·학·연 기업과 기관이 참여해 AI 인재양성, Open R&D, AI Eco 강화 등을 위해 협력중이다.
한편, KT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고객센터에서 AI 보이스콧 서비스를 전면 오픈했다고 18일 공개했다. AI 보이스봇 '지니'로 업무 170종과 1만 2천가지 문의 사항 상담을 24시간 20대부터 40대 고객들을 대상으로 우선 제공한다.
AI타임스 이하나 기자 22hnxa@aitimes.com
- 카카오모빌리티, AI 활용 스마트 배차 요금인상 철회...'갑질' 흔적만 자욱
- [양지열 칼럼] 인공지능(AI) 판사는 정의로울까?
- 구글 인력·컴퓨팅 없이 알파폴드2 재현한 로제타폴드, 어떻게 가능했나?...연구 주도한 백민경 박사 발표 내용
- "AI 양극화 벗어나 모두가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제공할 것"...신정규 래블업 대표 인터뷰
- KAIST 연구팀 “신소재 분야 AI 활용 가능성 열었다”
- LG AI연구원 "미시간주에 미국지사 설립한다"...수장으로 이홍락 교수 유력
-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 후속 전문가 회의 개최...초거대 AI 활용 시 저작권은?
- KAIST, 새로운 기술 산학 프로그램 내놨다... 박용철 창업지원센터장 인터뷰
- 최초의 한국어 AI 엑소브레인 개발자, 차세대 초거대 AI를 말하다
- KAIST 학생 창업기업 엘리스, 모교에 발전기금 3억원 약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