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가 다양한 경제 활동이 가능한 산업 공간이 될 전망이다. 19일 SKT는 국내 기업 최초로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해 메타버스 관련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SKT에 따르면 현재 메타버스는 엔터테인먼트, 광고·마케팅, 패션, 원격회의, 교육, 건축, 부동산, 금융, 정치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며, 신산업 트렌드로 부상했다.

유영상 SKT MNO 사업대표는 "이프랜드는 단순한 모임 플랫폼을 넘어 메타버스 월드로 진화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SKT는 향후 MZ 세대의 관심사를 기반으로 다양한 가상 이벤트를 제공하면서, 이프랜드가 원활한 소통의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대중화에 힘쓰겠다고 전했다.

SKT가 공개한 이프랜드 한 장면(사진= SKT)
SKT가 공개한 이프랜드 한 장면(사진= SKT)

전진수 SKT 메타버스 CO장은 "메타버스는 사용시 대용량 데이터를 원활하게 전송해야 한다. 이를 5G로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 이프랜드는 통신 장애 없는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하며, "MZ 세대를 위한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로 이프랜드 플랫폼이 자리 잡는 것이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전 CO장은 최근 메타버스 트렌드에 대해 "비대면 시대로 전환되면서 메타버스에서 만든 가상 모임 서비스가 집중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메타버스 월드로 진화할 계획에 대해선 "단기적인 목표는 모임을 특화시켜 이프랜드를 메타버스 대중화에 기여하게 할 생각이지만 메타버스 월드로 진화되면 다양한 기업들이 입점하면서 쇼룸, 가상 광고판, 콘서트홀, 가상공간 임대 등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이프랜드에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가능하게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SKT는 우선, 다양한 콘텐츠로 이프랜드에 많은 이용자를 유입시켜 플랫폼을 활성화하면서 실제 이용 중인 국내 고객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플랫폼을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SKT가 공개한 이프랜드 한 장면(사진= SKT)
SKT가 공개한 이프랜드 한 장면(사진= SKT)

이프랜드를 대중화된 플랫폼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아바타 인플루언서를 선정해 기획 콘텐츠를 제작한다. 이들과 메타버스 드라마 등 콘텐츠 서비스를 제작해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이프랜드에서 '이프루언서'로 불리는 이 서비스는 고객들이 메타버스에서 아바타로 다양한 사례를 만들어 활용하는 것을 보며 가능성 느껴 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프랜드에서 활동할 인플루언서를 제작하는 이프루언서 육성 프로그램인 '이프렌즈'는 오는 23일까지 참여자를 모집한다.

이후, 이프랜드에서 방송사 예능 프로그램 방영, 유명 셀럽과 토크 콘서트, 기업 포럼, 대학 교육기관 협력 외 패션, 뷰티, 식품, 엔터테인먼트, 문화, 예술 등 다양한 업계에서 MZ 세대가 좋아할 만한 콘텐츠가 많이 생성될 예정이다.

SKT의 이프랜드는 지난달 14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해 안드로이드 버전으로 가장 먼저 출시됐다. 지난 10일에는 iOS버전으로도 출시, 오큘러스퀘스트나 PC 버전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한다. 

해외 80여 개국에도 이프랜드 서비스를 오픈하는 것을 추진하며, 접근성을 개선한다. 다양한 해외 앱마켓을 출시로 글로벌 고객 대상 서비스로도 확대해 갈 전망이다.

SKT가 공개한 이프랜드 한 장면(사진= SKT)
SKT가 공개한 이프랜드 한 장면(사진= SKT)

조익환 SKT 메타버스 개발담당은 "이프랜드는 SKT에서 수년 전부터 자체개발한 T리얼 플랫폼"이며, "기존에는 음성 채팅만 가능했던 기능이 이용자들의 다수 건의로 인해 문자나 텍스트 채팅 기능까지 예정보다 앞당겨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프랜드 출시 이후, 대학 및 공공기관, 지자체, 유통, 제조업, 금융권, 엔터테인먼트, 전시, 공연 등 다양한 업계에서 수백 건의 제휴 문의가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양맹석 SKT 메타버스 사업담당은 "국내 기업 외에도 글로벌 시장에서도 MOU를 맺고자 다양한 제휴사와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하며, "가입자 확보를 최우선으로 생각, 신규 제휴를 통해 고객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전용 화폐 서비스는 필수 요소라고 생각한다"면서 "이프랜드 내 경제 활성화 먼저 추진한 뒤 필요한 타 플랫폼이나 외부 서비스를 차후 검토해 도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AI타임스 이하나 기자 22hnxa@aitimes.com

[관련기사] [메타버스 하나] 메타버스에서 촉각, 후각, 미각도 경험한다고?...'리얼 메타버스'에서는 가능해져

[관련기사] 메타버스, 도시와 농촌을 메이크업(화장)하다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