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박정호 대표)는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독형 디지털트윈 서비스를 출시를 목표로 디지털트윈 얼라이언스를 구축한다. 20개의 파트너사와 제휴를 맺으며, 28일 사업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왼쪽부터 문귀동 다쏘시스템 제조영업본부장, 노주환 에스디플렉스 대표, 신용식 SK텔레콤 IoT Co장, 송병훈 한국전자기술원 SMIC센터장, 하태진 버넥트 대표, 윤재민 플럭시티 대표, 유훈상 위즈코어 성장사업본부장이 참석했다. (사진=SKT)
28일 SKT '디지털트윈 얼라이언스' MOU 체결에 왼쪽부터 문귀동 다쏘시스템 제조영업본부장, 노주환 에스디플렉스 대표, 신용식 SK텔레콤 IoT Co장, 송병훈 한국전자기술원 SMIC센터장, 하태진 버넥트 대표, 윤재민 플럭시티 대표, 유훈상 위즈코어 성장사업본부장이 참석했다. (사진=SKT)

현재 제조업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디지털트윈 기술은 정부에서 추진중인 '한국판 뉴딜 2.0의 디지털 초혁신 프로젝트'의 국책 과제 중 하나로 공공 서비스 등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트윈은 현실과 동일한 상황 속 데이터를 가상공간에 구축한 것을 말한다. 여기서 시행한 다양한 실험을 기업 운용 전략과 의사결정에 반영하기도 한다.

하지만 막대한 초기비용이 발생해 중소기업은 도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구독할 수 있는 디지털트윈 서비스로 해결해 기업 부담을 덜어주는 동시에 본 서비스를 확산해갈 계획이다.

디지털트윈 얼라이언스의 구독형 디지털트윈 서비스는 공장 설비, 안전 시설 가상화 모니터링, 공정∙안전 데이터의 수집과 시뮬레이션 분석, 운영환경 최적화 등 제조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게 만들어질 예정이다.

제조 업체들을 위해 공장 안전 서비스를 단기간에 적용할 수 있게 개발하며, 타 업종을 위한 제조 특화 서비스로도 발전할 전망이다.

SKT와 디지털트윈 얼라이언스를 맺은 참여 업체, 기관은 다쏘시스템, 슈나이더일렉트릭, AWS(아마존웹서비스)를 포함, 버넥트, 플럭시티, 위즈코어, 에스디플렉스와 한국전자기술원,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 등이 있다.

디지털트윈 얼라이언스 파트너 리스트
회사/기관명 개요
SK텔레콤 5G, 클라우드, AI, IoT 및 연계 서비스
다쏘시스템 디지털트윈 솔루션
슈나이더일렉트릭 공장 자동화 솔루션
AWS(아마존웹서비스) Cloud 인프라
Ansys 시뮬레이션 등 디지털트윈 솔루션
ptc 공장설비 연동 등 디지털트윈 솔루션
셰플러 설비 진동 솔루션
SK플래닛 IoT 플랫폼 솔루션
오상자이엘 제조혁신 서비스
플럭시티 3D모델링, 안전혁신 서비스
위즈코어 팩토리 솔루션
버넥트 AR, VR 솔루션
캠틱종합기술원 기계업종 솔루션
이에이트 시뮬레이션 솔루션
에스디플렉스 설비 연동 솔루션
센코 환경 센서
이롭 패트롤 로봇
넥스인테크놀로지 컨설팅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디지털트윈 상호운용성 인증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 홍보, 마케팅
(표=SKT 제공)


여기서 SKT는 5G를 포함, IoT 전용망인 LTE Cat. M1와 클라우드, 인공지능(AI), 5G MEC(Mobile Edge Computing) 등을 적용해 참여 기업들의 기업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생산을 도울 예정이다.

SKT 관계자는 "구독형으로 디지털 솔루션을 상품화하기 위해 관련 기업들과 디지털트윈 얼라이언스로 협업하게 됐다"며, "금일 MOU가 체결된 상황이라 관련 상품이 아직 정해지지 않아 구체적인 운영 계획을 말하는 것은 시기상조인 것 같다"고 전했다. 

AI타임스 이하나 기자 22hnxa@aitimes.com

[관련기사] “SKT 보안카메라, 아동·발달장애인 사고 예방에 탁월” ...ai.x 컨퍼런스서 밝혀

[관련기사] 10년 뒤 딥러닝 세상 어떻게 대비할까?... SKT ai.x 컨퍼런스 개최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