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SK Telecom)
(출처=SK Telecom)

JTBC 방송 자막이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제작될 예정이다. SK텔레콤과 JTBC스튜디오는 ‘실시간 AI 자동 자막서비스’를 개발한다고 27일 밝혔다. 사람이 직접 콘텐츠 대화를 듣고 자막을 다는 방식보다 자막 생성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돼 청각 장애인들의 시청권 향상 및 K-콘텐츠 해외 보급이 높아질 전망이다.

JTBC스튜디오는 AI 딥러닝을 위한 영상 콘텐츠와 방송 기술 컨설팅을, SKT는 미디어에 최적화된 음성인식과 자막 생성 기술을 개발해 종합적으로 활용할 계획을 밝혔다.

해당 기술은 영상 콘텐츠를 인식해 AI가 자동으로 한국어 자막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미디어에서 말소리 듣기가 힘든 시청자 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 주요 방송사들은 사람이 직접 영상 콘텐츠의 대화를 듣고 이를 자막화해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러나 4~5초 정도 지연될 뿐만 아니라 대화가 누락하는 일이 빈번했다. 또 VOD나 OTT 매체에는 해당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아서 청각장애인 시청복지에 소홀했다. 

한국 미디어에 관심 많은 해외 시청자들을 위한 한국어 서비스도 제공해서, K-콘텐츠 확산에 효과적이다. 드라마뿐만 아니라 자막 달기 어려운 예능 콘텐츠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이는 번역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JTBC스튜디오 콘텐트사업본부 박창성 본부장은 “JTBC 콘텐츠를 활용해 시청자 복지 향상을 위한 미디어기술 개발이 속도를 낼 예정이다”고 밝혔다. SKT 미디어사업지원그룹 이재광 그룹장은 “미디어 기술이 복지뿐만 아니라 K-콘텐츠를 통해 한류 발전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 기사] “SKT 보안카메라, 아동·발달장애인 사고 예방에 탁월” ...ai.x 컨퍼런스서 밝혀

[관련 기사] 인공지능, 박물관 찾는 청각장애인의 ‘귀’가 되다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