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내년 1분기 '클라우드-네이티브 기반 차세대 5G 코어'를 본격 상용화한다.
SKT는 15일 에릭슨과 함께 개발한 '클라우드-네이티브 기반 차세대 5G 코어'의 검증 과정을 마치고 구축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현재 장비 구축을 본격 시작했다고 밝혔다. 상용화는 2022년 1분기가 목표다.
클라우드-네이티브는 각종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제작이 클라우드 환경을 기준으로 이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드웨어 장비와 비교해 빠른 업데이트를 통한 서비스 출시 시간 단축 및 안정성 확보 등의 장점이 있다.
SKT는 이동통신 분야에도 해당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선제적으로 차세대 5G 코어 구축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박종관 SKT 인프라 기술담당은 "클라우드-네이티브 기반 차세대 5G 코어 구축을 통해 고객들에게 새롭게 개발되는 네트워크 기능들을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선보일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의 5G 이용에 도움이 될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니카 제쓰존(Monica Zethzon) 에릭슨 솔루션 패킷 코어 총괄은 "5G 통신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에서, SKT와 함께 또 하나의 중대한 5G 이정표를 달성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에릭슨의 5G 코어 솔루션으로 전 세계 소비자와 비즈니스를 위한 맞춤형 5G 서비스가 가능한 혁신 생태계를 계속해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클라우드-네이티브 기반 차세대 5G 코어란.
클라우드-네이티브 기반 차세대 5G 코어는 클라우드-네이티브의 장점을 그대로 받아들여 신속한 신규 기능의 적용은 물론, 서비스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현재 글로벌 통신사들이 높은 관심 속에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국내에서 개발을 마치고 구축 단계에 도달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구축 시 장점은.
유연한 소프트웨어 이동 및 실시간 복구 기능을 기반으로 망 오류나 장애 발생 시 빠른 복구가 가능하다.
초고속·대용량 5G 서비스를 위한 패킷 가속 처리, 경로 최적화, 다중 흐름 제어 등과 관련한 최신 기술들이 적용돼 기존의 물리 기반 대비 트래픽 처리 효율을 최대 50%까지 높일 수 있다.
별도의 데이터센터를 필요로 하는 프라이빗-5G 같은 특화망을 보다 빠르게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국지적 트래픽 폭증 같은 상황에서도 클라우드 상에서의 빠른 자원 할당으로 품질 저하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SKT 입장은.
SKT는 신규 5G 코어 장비의 경우 차세대 5G 단독모드(SA, Option 4)도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돼 5G 단독모드(Option 4) 도입과 동시에 고객들이 한 단계 진화된 네트워크 품질을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SKT와 에릭슨은 이번이 업계에 클라우드-네이티브 기반 5G 코어 분야의 표준을 제시하는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AI타임스 김동원 기자 goodtuna@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