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총장 이광형)는 김동명 법무사가 총 20억원을 김재철AI대학원에 기부했다고 6일 밝혔다.
김동명 씨는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90세 법무사다. 그는 지난 10월말 KAIST 김재철AI대학원에 3억원 현금과 17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발전기금으로 기부했다.
KAIST는 10월 17일 대전 본원 총장실에서 발전기금 감사패 전달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KAIST 이광형 총장, 이승섭 교학부총장, 이상엽 연구부총장, 김보원 대외부총장, 정송 김재철AI대학원장, 신진우 김재철AI대학원 교수 등이 참석했다.
김동명 법무사는 "KAIST가 세상을 바꾸는 과학기술로 국가와 사회발전에 공헌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훨씬 크다는 것은 해본 사람만 알 수 있는 것인데, 대한민국의 미래 발전을 이끌어갈 KAIST 인공지능(AI) 연구에 힘을 보탤 수 있다면 내게는 더할 나위 없다"고 말했다.
이광형 총장은 "세계의 AI 기술을 선도하는 대학이 되어 보내주신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학교 구성원 모두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80년대부터 미래학 공부, AI를 미래산업 주역으로 판단
김동명 법무사가 KAIST 김재철AI대학원을 기부처로 정한 이유는 평소 AI를 비롯한 미래 기술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80년대부터 미래학을 공부한 김 씨는 최근 기술 동향을 보며 AI가 우리나라 미래산업을 이끌어갈 기술이라고 판단했다. 이러한 확신에 따라 김재철AI대학원에 기부를 하기로 결정한 것.
김 씨는 올해 9월 KAIST에 '증여 청약 의향서'라는 제목의 우편물을 보냈다. 해당 서류에서 그는 "위 본인이 현금과 별지 부동산을 귀 재단에 '사인증여등기'에 의거 증여하고자 하는 바 다음 제안을 동의·수용할 수 있는지요"라고 제안했다. 사인증여는 사망과 동시에 효력이 발생하는 생전 증여 계약이다.
KAIST 발전재단은 즉시 계약서와 위임장 등 증여에 필요한 문서를 준비해 기부자에게 회신했다. 이후 김 씨는 부동산의 등기 이전 등 기부에 필요한 실무적인 절차를 직접 진행해 기부를 완료했다.
KAIST 발전재단 관계자는 "기부자를 처음 뵙는 자리에서 학교의 성과를 설명해드렸는데 주요 내용은 이미 파악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기부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학교 홈페이지를 탐독하며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꼼꼼하게 찾아봤다고 한다"고 말했다.
김 씨는 최근 들어 KAIST에 고액 기부가 잇따른다는 언론 보도를 눈여겨봤다고 한다. 그는 "잘되는 집에는 다 이유가 있는 것처럼 고액 기부자가 몰리는 학교라면 분명히 특별한 이유가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전했다.
AI타임스 박성은 기자 sage@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