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저커버그는 빌더봇을 사용하여 기본 가상 세계를 만들고 섬, 나무 및 해변과 같은 기능을 추가하도록 명령했다.(영상=메타)

메타(Meta, 구 페이스북)가 가상 세계인 ‘메타버스’ 구축에 이용될 미래형 인공지능(AI) 기술들을 공개했다. 메타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는 가상환경에서 자신의 아바타와 함께 등장해서 목소리로만 메타버스를 구축할 수 있는 도구를 선보였다.

마크 저커버그 CEO는 23일 온라인 행사 '인사이드 더 랩'에서 "메타버스가 가져올 많은 발전을 잠금 해제할 열쇠는 AI"라면서 현재 개발 중인 여러 가지 AI 기술을 선보였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저커버그는 메타가 사람들이 가상환경에서 세상을 묘사하고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종류의 생성적(generative) AI 모델인 '빌더봇(Builder Bot)'이라고 불리는 AI 개념을 선보였다. 시연에서 저커버그는 가상환경에서 상반신만 보이는 아바타 형태로 동료 아바타와 나타났다. 처음에 가상공간은 땅과 하늘의 안내선 외에는 완전히 비어 있었다. 이어 저커버그의 아바타가 빌더봇을 부르고 "해변으로 가자"고 말하자 즉시 바다와 모래가 나타났다. 이어 동료 아바타가 “여기에는 피크닉 테이블과 음료를 놓고 파도 소리가 들리면 더 그럴 듯 하겠다”고 덧붙이자 적막했던 주변 환경에 물건들과 파도 소리가 더해졌다.

저커버그는 “메타 플랫폼은 사람들이 원하는 세계를 묘사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을 만들고 있다”며 이 같은 프로토타입을 포함한 AI 프로젝트 ‘카이라오케(CAIRaoke)’를 공개했다. 카이라오케 프로젝트는 "개인적이고 상황에 맞는 대화가 가능한 온디바이스 비서를 구축하기 위한 완전한 종단간 신경 모델"이라며 빌더 봇은 가상 세계를 만드는 데 필요한 대화형 AI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카이라오케 프로젝트의 일부일 뿐이라고 밝혔다.

메타는 어떤 언어로든 누구와도 소통할 수 있는 범용 음성 번역기를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사진=메타)
메타는 어떤 언어로든 누구와도 소통할 수 있는 범용 음성 번역기를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사진=메타)

카이라오케를 통해 메타버스에서 이용자가 음성으로 AI와 더 매끄럽게 소통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메타는 카이라오케를 화상회의 기기인 '포털'에 도입했고, 앞으로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기기에도 통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카이라오케 프로젝트는 사람들이 실제로 눈 앞에 타인이나 세계가 실재하는 것처럼 인식하도록 ‘1인칭 시점 인식’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또 사람이 미리 분류한 레이블(label)을 포함하지 않은 데이터를 이용해 스스로 패턴과 맥락을 파악하는 ‘자기 지도 학습(self-supervised learning)’ 기법을 이용한 차세대 생성형 AI(Generative AI) 모델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AI에게 특정 개념을 학습시키는 게 아니라 데이터 원본을 제공하고 나머지 부분을 예측하도록 유도해 그 과정에서 AI도 추상적인 표현을 배울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메타 플랫폼이 내세운 건 텍스트가 아닌 음성 인식을 통한 AI 프로젝트다.  사람들이 쉽게 소통할 수 있도록 목표 두 가지를 내세웠다. 하나는 어떤 언어를 쓰는 이용자도 소외되지 않도록 모든 언어를 통·번역할 수 있는 고급 AI 도구의 개발이다. 다음으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음성인식을 통해 실시간으로 의사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번역 시스템이다. 

메타는 앞서 연구팀이 올해 중반쯤을 목표로 세계에서 가장 빠를 것으로 생각되는 새로운 AI 슈퍼 컴퓨터를 개발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AI타임스 박찬 위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메타, 가상현실 속 배경·사람 구분 기능 개선..."실감 나네"

[관련기사]"더 똑똑한 'AI 비서' 온다"...메타, 사람 말 더 정확히 듣는 언어모델 소개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