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지난달부터 '광주형일자리 시즌2'로 친환경 모빌리티 중심의 세계적인 '미래자동차 부품클러스터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 사진은 이용섭 광주시장이 지난 2월 10일 오전 광주시청 브리핑룸에서 비대면 기자회견을 통해 광주형일자리 시즌2 추진을 공식 선언하는 모습. (사진=광주광역시 제공).
광주광역시가 지난달부터 '광주형일자리 시즌2'로 친환경 모빌리티 중심의 세계적인 '미래자동차 부품클러스터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 사진은 이용섭 광주시장이 지난 2월 10일 오전 광주시청 브리핑룸에서 비대면 기자회견을 통해 광주형일자리 시즌2 추진을 공식 선언하는 모습. (사진=광주광역시 제공).

'광주형 일자리 시즌2 드림팀'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광주 공약 구체화에 대응하고 광주형 일자리 시즌2 세부 실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광주형 일자리 시즌2 드림팀은 지역 혁신기관을 비롯해 대학과 ㈜에픽, 자동차안전연구원, 연구개발특구, 산업단지공단, 광주시도시공사, 전남개발공사,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업활력법 활용지원센터,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특허법인 등 각 분야의 전문가 51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특화단지·인프라·기업지원·사업 등 4개 분과에서 활동한다. 매주 1회 이상 분과별 회의를 통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제안할 광주형 일자리 시즌2 세부과제와 실행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광주광역시는 지난 8일 분과장과 간사가 참여하는 분과협의체 첫 회의를 열고 광주형 일자리 시즌2 추진위원회 실무분과를 구성해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실무분과에서 수립된 모든 사업과 실행계획은 분과협의체 논의를 거쳐 광주형 일자리 시즌2 컨트롤 타워인 추진위원회에 보고되며 승인을 받아 최종 확정된다. 광주지역 자동차 분야 대선 공약은 빛그린국가산단을 중심으로 한 미래형 자동차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조성과 차량용 전력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인공지능(AI) 기반 센서기술 고도화 및 미래 모빌리티 전후방 연관 산업 첨단화 등으로 광주형 일자리 시즌2의 주요 과제가 반영됐다.

손경종 광주시 인공지능산업국장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반영하느냐가 광주형 일자리 시즌2 추진을 위한 정부의 지원 폭을 결정하는 바로미터가 된다"며 "지역 내 각 분야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실무분과를 3~4월에 집중 운영해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지난달 10일 광주형 일자리 시즌2를 공식 선언한 후 추진위원회 출범과 친환경자동차 부품인증센터 배터리 시험동 개소, 지역 자동차 부품기업 대상 통합설명회 개최, 전장부품 기업 베스트 10 육성 추진 등 친환경자동차 메카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광주형 일자리 시즌2는 지자체 주도의 사회 대통합형 노사상생 모델인 광주형 일자리 성공 사례를 친환경자동차 부품산업으로 확대해 이를 기반으로 세계적 수준의 미래차 부품공장 유치와 지역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을 추진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를 통해 친환경자동차 부품클러스터와 부품인증센터, 광주글로벌 모터스로 이어지는 부품개발-생산-인증-완성차의 지역경제 선순환 사이클을 구축해 청년 일자리와 광주 자동차산업 100년 미래 먹거리 창출을 도모하겠다는 사업이다. 

AI타임스 윤영주 기자 yyj0511@aitimes.com

[관련기사] ‘광주형일자리 시즌2’ 선언한 광주광역시, 세계적인 ‘미래車 부품클러스터’ 조성한다

[관련기사] 광주시, 자동차 전장부품기업 'BEST 10' 선발…"미래 유니콘기업으로 키운다"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