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가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기회발전특구'(ODZ)를 추진하기로 하면서 2년 전부터 이어져 온 기업들의 광주행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발 맞춰 전문가들은 기술력있는 기업들과 소통하는 등 사전작업을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지난달 27일 새 정부의 지역 발전을 위한 국정과제의 하나로 각종 세제 지원과 규제 특례를 제공하는 ‘기회발전특구’를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인수위 김병준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새 정부는 해당 특구로 이전하는 기업에 양도소득세 이연·감면, 창업자에 대한 증여세 감면, 취득·재산·법인·소득·상속세 감면, 특구 개발펀드에서의 금융소득 관련 소득세 감면 등 각종 세제 지원과 규제 특례를 제공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ODZ에서는 중앙정부의 201개 규제를 유예 면제해주고 각 지방정부의 차별화된 규제 특례를 적용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중앙정부의 규제 신속 확인 ▲실증특례 ▲임시허가 등도 허용할 예정이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에 있어 전례 없는 조치들이 시행될 것"이라며 "법인세는 글로벌 최저 수준인 15% 아래로 내려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광주의 인공지능(AI) 산업도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150여 개가 넘는 AI 기업·기관이 이미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규제 족쇄를 풀고, 이전 기업들에 파격적 혜택을 제공할 시 기업들의 광주행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지역의 산업 전문가들도 새롭게 도입되는 기회발전특구 제도에 발맞춰 사전작업에 한창이다.
광주 AI-뉴딜추진위원회(위원장 조환익)는 2일 오전 시청 회의실에서 제7차 회의를 열고 새정부 지역균형발전 패러다임 전환에 발맞춰 산업분야 국정과제 지역공약 현황을 청취하고 실행력 확보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대통령 인수위가 지난달 25일 국정과제를 발표하고, 연이어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가 발표한 ‘지역균형발전 비전 및 국정과제’에 당선인이 공약하고 광주시가 건의한 7대 공약 15대 과제가 모두 담기면서 광주의 정체성을 담은 차별화된 전략을 속도감 있게 준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는 기회발전특구에 대한 다각적인 논의도 펼쳐졌다. 기업 유치는 광주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인공지능 중심도시 광주’와 ‘광주형일자리 시즌2 미래차 부품클러스터’ 등 지역 전략산업 성공의 핵심요건이지만 수도권에 비해 열악한 인력, 인프라, 지리적 위치 등으로 그동안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번에 새로 도입될 기회발전특구를 활용해 기업 유치를 위한 각종 혜택과 방안을 고민하고 기술력있는 기업들과 소통하는 등 사전작업을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 등이 제시됐다.
조환익 위원장은 “광주가 착실히 다져온 광주형 3대 뉴딜 사업들이 당선인 지역공약과 융합돼 미래 100년을 책임질 것이다”며 “광주가 한국판 실리콘밸리, 광주형 일자리 시즌2, 2045탄소중립·에너지자립도시 실현을 통해 새로운 지방시대를 선도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용섭 시장은 “AI-뉴딜 추진위원회에서 활발하게 논의한 광주형 AI-3대 뉴딜사업이 광주형 일자리 시즌 2와 인공지능 핵심거점 사업으로 중단없이 추진되어 더 큰 결실을 맺길 바란다”며 “남은 임기동안 당선인의 지역공약 국정과제도 속도감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AI타임스 유형동 기자 yhd@aitimes.com
